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원로 학자가 들려주는 유학 이야기
 
저자는 유교 사상의 골격을 크게 네 가지 주제로 소개한다. 유교 사상의 기본 구조에는 두 초점이 제시되는데 하나는 ‘나’를 찾고 실현하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너’를 만나 어울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나를 닦는 ‘수기修己’와 남을 다스리는 ‘치인治人’이다. 이 책의 1부 ‘나를 찾는 길’과 2부 ‘너와 함께 어울려’는 이러한 관심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유교 사상의 주된 관심은 ‘나’와 ‘너’를 실현하는 데 있다. 그 실현의 현장은 현실 세계요, 그 실현의 기준은 하늘의 명령[天命]이다. 이 책의 3부 ‘방황하고 꺾이고’는 현실 세계를 살아가면서 만나는 문제들이고 4부 ‘하나 되는 자리’는 천명을 따라 일치하고 순응하는 믿음을 살펴본 것이다. 「사서」를 비롯한 고전을 널리 인용하여 옛 성현의 말씀을 음미할 수 있도록 한문의 원문도 괄호 속에 수록하고 출전도 밝혀, 고전을 원문으로 읽는 맛을 즐길 수 있다.
 

‘사람을 알아보는 안목’이라는 글에서 필자는 인사(人事)의 중요함을 설명한다. 현 정부 들어 고위직 인사에서 얼마나 큰 혼란과 착오를 겪었던가! 적당한 사람을 찾는 데 있어 만인이 다 좋다고 하더라도 다시 한 번 검증을 해보라는 성현의 말씀, 뿐만 아니라 인사가 실패했다면 그 사람을 기용한 사람은 자기 자신의 부족함을 되돌아보아야 한다는 말씀, 정말 명쾌하게 우리 현실을 짚어주고 있다. 이 책의 표지에 실린 추천글로 이 책을 다시 한 번 소개한다.

“이 책은 글마다 옛 성현들의 깊은 사상과 풍부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어 유학자의 눈으로 본 개인 성찰과 사회 윤리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접할 수 있다. 특히 저자가 직접 겪은 우리 사회의 문제나 개선해야 할 점들이 사서삼경 등 동양 고전에 실린 삶의 지혜에 비추어 허심탄회하게 서술되어 있다. 따라서 동양 사상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도 우리의 정서에 맞게 써 내려 간 신앙인의 바른 자세를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어, 우리 사회의 원로에게 ‘한 말씀’ 듣고 싶은 사람들에게 매우 값진 책이 될 것이다.”



책 속으로

그렇다면 우리가 ‘나’라고 일컫는 자기 존재는 과연 어떤 ‘나’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무엇이 나에게 유리한지 이해관계를 살피고, 무엇이 나를 즐겁게 해주는지 이기적 욕심 추구에 몰두하는 ‘나’인가? 그렇지 않으면 무엇이 옳은 일인지 정의로움을 찾아가고 어떻게 하는 것이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지 이타적 배려를 하는 ‘나’인가? 결국 ‘나’라는 존재도 내가 추구하는 목적이나 가치에 따라 전혀 다른 존재로 각성되고 실현될 수 있다. 고급스런 옷을 입거나 명품 가방을 들고 다녀서 돋보이는 ‘나’와 마음 씀이 따스하고 너그러우며 생각이 맑고 깊어 돋보이는 ‘나’는 전혀 품격이 다르다.
_17쪽
 
자기를 사랑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는 바로 자기 속의 양심을 잘 키워가는 것이다.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이라야 자기를 낳아주고 길러준 부모를 사랑할 수 있고, 자기를 가르쳐 준 스승을 사랑할 수 있으며, 조국을 사랑할 수 있을 것이다. 부모를 사랑하고 스승을 존경하고 조국을 사랑하라고 아무리 도리를 따져 가르쳐도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공허한 말일 뿐이다. 그래서 맹자는 “자기를 해치는 자와는 더불어 말할 수 없고, 자기를 저버리는 자와는 더불어 일을 할 수 없다 自暴者, 不可與有言也, 自棄者, 不可與有爲也.”「맹자」7-10:1고 했다.
 
해방 후 한때 서울 홍파동에 있었던 율곡栗谷의 사당 앞 석벽에 율곡의 글씨로 새겨 놓은 구절이 있다. “성품은 저 아래 물속의 물고기에서 저 높이 하늘 위의 새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같으니, 나의 사랑이 저 멀리 산골짜기까지 가서 머문다. 性同鱗羽, 愛止山壑.”는 구절이다. 진실로 자기를 사랑하는 마음은 마치 어느 산골에서 솟아난 샘이 끊임없이 넘쳐흘러 멀리 바다까지 이르는 것과 같고, 잔잔한 물 위에 던진 돌의 파문이 동심원을 그리며 점점 넓게 퍼져서 호수의 끝에까지 이르는 것과 같다. 이처럼 그 사랑은 인간이 사는 세상을 모두 적셔 생명이 싹트게 하고, 나아가 자연의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까지 사랑할 수 있는 힘의 원천이 아니겠는가.
_21-22쪽
 
우리 마음에는 욕심을 따르는 ‘인심人心’과 도리를 따르는 ‘도심道心’이 있다고 한다. 정약용은 인간의 마음을 ‘인심’과 ‘도심’이 싸우는 전쟁터라 했다. 인간이 살아 있는 동안은 이 전쟁터에서 ‘인심’을 제거할 수가 없다. 그렇다면 ‘도심’이 ‘인심’의 고삐를 잘 붙잡고 통제할 때 성숙한 인격을 갖춘 인간이 될 수 있다. 절제된 욕심은 인간의 미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래서 순자荀子는 욕심을 제거하거나 적게 하는 것이 아니라, 욕심을 이끌고 절제하는 방법을 추구하도록 제시했다. “다스림을 말하면서 욕심을 버리기를 기대하는 자는 욕심을 바르게 인도할 줄 모르면서 욕심이 있는 것을 곤란하게 여기는 자이다. 다스림을 말하면서 욕심을 적게 하기를 기대하는 자는 욕심을 절제할 줄 모르면서 욕심이 많은 것을 곤란하게 여기는 자다. 凡語治而待去欲者, 無以道欲而困於有欲者也, 凡語治而待寡欲者, 無以節欲而困於欲多者也.”「荀子」, 正名篇.
_69-70쪽

머리말


1부 나를 찾는 길
나는 어떤 사람인가
자기를 사랑해야
먼곳을 가려면
선과 악의 분기점
단정한 외모, 반듯한 마음씨
육신의 성장과 인격의 성숙
(중략)


2부 너와 함께 어울려
나와 너의 만남
사람답게 사는 도리
사랑과 공경
예절과 준법정신
사람을 알아보는 안목
칭찬과 충고
(중략)


3부 방황하고 꺾이고
태풍 속에서 길을 찾으려면
자연의 이용
살고 있는 마을
역사의 수레바퀴
시급한 일과 중대한 일
(중략)


4부 하나 되는 자리
함께 어울리는 마당
마음의 귀와 영혼의 귀
맑은 바람이 부는 곳
공론을 찾아내야
어울림의 아름다움
중용과 인격
(중략)




 

글쓴이 : 금장태

서울대 종교학과 졸업. 성균관대 대학원 동양철학과 수료(철학박사). 동덕여대 ‧ 성균관대 한국철학과,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역임. 현 서울대 종교학과 명예교수.
제1회 유교학술상(2004), 제1회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2008) 수상.
저서에는 「비판과 포용-한국 실학의 정신」, 「귀신과 제사-유교의 종교적 세계」, 「퇴계평전-인간의 길을 밝혀준 스승」, 「율곡평전-나라를 걱정한 철인」, 「다산평전-백성을 사랑한 지성」, 「선비의 가슴 속에 품은 하늘」 외 다수가 있다.




평화신문 ㅣ 남정률 기자 ㅣ 2015년 4월 26일

오늘날 그리스도교는 유교 전통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천주교와 갈등을 거친 유교가 근대화 이후 세력을 잃고 붕괴했기 때문이다. 이미 주저앉은 유교를 다시 돌아볼 가치가 있을까?

18세기 후반 이후 천주교가 유교 국가인 조선에 전래하는 과정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온 금장태(토마스 아퀴나스) 서울대 명예교수는 그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유교가 한국 역사와 문화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으니, 그리스도교가 한국 사회에 뿌리를 내리고자 한다면 그 전통의 뿌리에 무관심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다. 책은 그런 배경에서 나왔다.

저자는 유교 사상의 골격을 크게 네 가지 주제로 나눴다. 나를 닦는 ‘수기’(修己)와 남을 다스리는 ‘치인’(治人)이라는 유교 사상의 두 가지 틀에 따라 1부 ‘나를 찾는 길’과 2부 ‘너와 함께 어울려’ 에 이 주제와 관련된 글을 담았다.

유교 사상의 주된 관심은 또한 ‘나’와 함께 ‘너’를 실현하는 데 있다. 그 실현의 현장은 우리가 발을 딛고 사는 현실 세계이며, 실현해야 할 것은 하늘의 명령(天命)이다. 3부 ‘방황하고 꺾이고’는 현실 세계를 살아가면서 만나는 문제들을, 4부 ‘하나 되는 자리’는 천명에 일치하고 순응하는 믿음을 살펴본 것이다.

옛 성현의 말씀을 음미할 수 있도록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등 유교 경전의 원문도 함께 실어 고전을 원문으로 읽는 즐거움도 누릴 수 있다.

금 교수는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에서 동양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를 지냈다. 유학은 고리타분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이미지를 불식시키고도 남을 만큼 글이 쉽고 매끄러우며 현대적이다. 부제는 ‘유학자와 함께 일상에서 철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