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말 … 13
프롤로그 “내가 가진 가장 귀중한 책자” … 19
여행 면허, 여권 | 개인과 문화와 정치의 접점 | 국경을 넘어 경계를 가로지르는 사람들 | ‘나’의 증명 | “여권의 번거로움” | 국경 통제 의례를 향한 노골적인 도발 | 전쟁과 여권 | 여권의 위력과 인간 소외 | 여권의 악몽 |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사람 |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가
제1부 현대식 여권의 등장 이전 시대
제1장 고대 국가와 고대의 시민 … 57
람세스 2세의 프랑스 여행 | 여권을 소지한 미라 | 수집되고 해석되는 기억으로서의 여권 | 현존하는 최초의 여권, 안전 통행증 | “아무도 그를 억류하지 말지니라” | 『구약성경』의 여행 허가증, 할미 | 배제에서 비롯된 고대 시민권 개념 | “가치 있는 생명”과 “벌거벗은 생명” | 고대 그리스의 여권 ‘심볼라’와 ‘심볼론’ | 고대 로마의 시민권과 ‘호모 사케르’ | 고대 중국의 통행증, 전(傳) | 근대 여권의 초기 버전으로서의 전(傳)
제2장 위대한 군주와 그랜드투어 여행자 … 95
마르코 폴로와 황금 패자 | 황금 패자의 위력과 한계 | 폴로 가족의 황금 패자 이야기는 진짜일까 | 중세 유럽의 주권국가와 안전 통행증 | 절대 권력의 상징으로서의 여권 | 엘리자베스 1세의 “여행 허가서”와 그랜드투어 | 시(詩)라는 위대한 여권 | 진본 확인 표식과 인장이 찍힌 종이 한 장 | 파리에서 인쇄기로 만들어버린 미국 최초의 여권 | “움직이고 머무르고 떠날” 자유와 국가 안보의 충돌
제3장 근대 국가와 근대의 시민 … 127
신체를 읽어내는 여권 | 열성적 여행자 스탕달의 여권 이야기 | 1819년 볼로냐의 바이런 엿보기 | 지인의 신원 조작을 도운 메리 셸리 | 젠더적 경계를 뛰어넘기 위해 이용된 여권 | 남북전쟁 이전의 미국 여권과 허먼 멜빌 | 허먼 멜빌의 ‘주관적’인 신체 특징 묘사 | 시민권 증명서를 요구받은 허먼 멜빌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자유 문서” 선원 보호증 | 자유는 돈으로 샀지만 여권은 사지 못하다 | 흑인과 백인의 닮은꼴 여권 | 69세에 시민권의 상징인 여권을 발급받은 더글러스
제2부 현대식 여권의 등장
제4장 모더니스트와 투사 … 171
방랑자이자 망명자이며 난민인 제임스 조이스의 여권 | 여성이 자신의 여권을 가질 수 없던 시대 | 전쟁의 발발과 취리히에 모여든 망명자들 | 가발을 쓰고 턱수염을 민 레닌의 여권 사진 | 여권 사진과 국가권력의 이동 통제 | 지드, 릴케, 파운드 등 예술가와 지식인들 분개하다 | 엘뤼아르의 여권으로 파리에 둥지를 튼 에른스트 | 거트루드 스타인의 『자서전』과 공식적인 여권의 관계 | 헤밍웨이의 네 가지 여권 | 가족이 지워진 피츠제럴드의 여권 | 여권 서류의 기록은 소지자의 행적 추적기 | 흑인 시인 랭스턴 휴스의 여권 | ‘색깔의 여권’마저 도둑맞은 시인
제3부 현대식 여권의 시대
제5장 추방자와 무국적자 … 219
러시아의 농노와 여권 | 여권 없는 유대인 화가, 마르크 모이셰 샤갈 | 난민과 무국적자와 인권의 위기 | 난센여권의 등장과 스트라빈스키 | 소비에트 정부의 귀화권 박탈과 나보코프의 난센여권 | 히틀러를 가까스로 피한 나보코프 가족의 프랑스 탈출 | 츠바이크, “무국적자를 위한 여권”을 신청하다 |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의 무국적자 | 영국 여권 때문에 적국인이 된 조이스 가족 | 에른스트, 프랑스와 게슈타포 양쪽에서 쫓기다 | 예술가와 지식인 난민 구조를 위해 나선 “미국의 쉰들러” | 에른스트의 그림이 에른스트를 구하다 | 비시 정권을 간신히 벗어난 샤갈 | “언젠가 유명해질” 아렌트, 뉴욕으로 탈출하다 | 발터 벤야민, 스페인 국경을 넘지 못하고 자살하다 | 오늘날까지 계속되는 난민 위기와 “권리를 가질 권리”
제6장 이주자와 마르크스주의자 … 263
아이웨이웨이, 여권 통제 의례를 신랄하게 패러디하다 | 어떤 종류의 여권을 갖고 있는가 | “여권 압수”라는 감옥 | “왜 나에게 라벨이 붙어야 한단 말인가?” | 레온 트로츠키 추방과 암살자의 이중 여권 | 냉전 시대 블랙리스트에 오른다는 것 | 이동과 표현의 자유를 위한 소송 | 빌린 여권으로 국경을 넘은 네루다 | “로브슨을 노래하게 하라” |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헤르타 뮐러의 소설 『여권』 | 영토 없는 NSK 국가의 여권 | NSK의 가상 여권에 몰려든 여권 신청서 | 여권으로 인한 국제적 위기를 환기시키는 여권 | NSK 국가의 여권에 대한 지젝의 통찰
제7장 외지인과 원주민 … 304
지구에 떨어진 사나이, 데이비드 보위 | “외(계)인(alien)”의 의미 | “행성 간” 슈퍼스타의 토성 출생 여권 | 여권이 필요 없는 여행에 대한 판타지 | 여권이 있든 없든 위협적으로 인식되는 “외부인” | 남아프리카에서 지구로 떨어진 이민자, 일론 머스크 | 머스크의 이민 제한 정책 비판 | 미국 여권 대신 세계 여권을 사용한 야신 베이 | 세계 여권을 발급받은 난민 무국적자 75만 명 | “내 조국은 지구” | 줄리언 어산지와 에드워드 스노든의 여권 | 오스트레일리아 애버리진 부족연합의 여권 | 원주민 집단의 완전한 주권 행사로서의 여권 | 북아메리카 원주민 이로쿼이 연맹의 호디노소니 여권
에필로그 “좋은 여권 나쁜 여권” … 347
동등한 자유를 보장하지 않는 여권 | 제2의 여권 시장과 두 가지 여권을 소유한 자 | ‘올바른 여권’ 소지자의 ‘수상한’ 피부와 이름 | 브렉시트와 EU 없는 영국 여권 | 영구불변한 “좋은” 여권은 없다―미국 여권의 거부 | 몰타의 시인이 만든 유토피아적 반(反)여권 | 여권의 미래, 미래의 여권
미주 … 377
도판 출처 … 389
찾아보기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