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주교회의 교육위원회가 편찬한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사』는 한국 가톨릭 학교가 걸어온 길을 1784년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박해 시기-개항기-일제 강점기-미 군정과 이승만 정부 시기-군부 정권 시기-민주화 시기)로 정리하여, 그 길을 돌아보고 기억하여 나아가고자 하였다.


발간사

들어가며 

1. 박해 시기(1784-1882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의 태동

1) 한국 천주교회 설립과 조선 왕조의 박해 

2) 조선의 대외 인식

3)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회장제와 명도회, 그리고 학교 설립을 위한 노력 

(2) 한국인 성직자 양성을 위한 노력 

4) 결론

2. 개항기(1882-1910년)

본격적인 가톨릭 학교 교육의 시작

1) 박해의 종식과 선교의 자유 

2) 근대식 교육 제도의 도입과 애국 계몽 운동 

3) 일제의 교육 통제 

4)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한한 학원 – 개항기 최초의 근대식 학교 

(2) 많은 수의 소규모 학교들

(3) 여성 교육을 위한 학교 설립

(4) 애국 계몽 운동의 요람, 일제의 탄압

(5) 교육 수도회 영입을 통한 중등 교육 기관 설립

(6) 예수 성심 신학교 설립과 신학교 교육 

5) 결론

3. 일제 강점기(1910-1945년)

식민 지배 속에서도 한결같이

1) 일제의 종교 정책과 천주교회 

(1) 정교분리 

(2) 종교 통제의 강화 

(3) 신사 참배

(4) 전시 동원 체제

2) 일제의 교육 정책과 천주교회 

(1) 사립 학교 통제의 강화 

(2) 문화 통치와 교육 

(3) 황국 신민 교육, 전쟁 수행의 도구화 

3)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비인가 소규모 학교 운영

(2) 정규 보통학교의 설립과 운영

(3) 천주교 교사 양성을 위한 사범 학교 – 숭신 학교 

(4) 직업 교육을 위한 실업 학교 – 숭공 학교

(5) 중등 교육 기관의 설립 – 동성 상업 학교와 계성 여자 상업 전수 학교 

(6) 여성 교육 

(7) 유아 교육 

(8) 신학교의 분리와 폐교

4) 결론

4. 미 군정과 이승만 정부 시기(1945-1960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의 새로운 도약 

1) 미 군정, 이승만 정부의 종교 정책과 천주교회

(1) 미 군정의 친(親)그리스도교 정책 

(2)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천주교회

(3) 북한과 반공 주의 

(4) 이승만 정부와 천주교회 

2) 미 군정, 이승만 정부의 교육 정책과 천주교회

(1) 미 군정의 교육 정책

(2) 국가 교육 제도의 수립

(3) 초등 의무 교육의 시행 

3)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중·고등 교육 기관 설립

(2) 한국 전쟁과 가톨릭 학교 교육

(3) 국제 수도회의 한국 진출과 학교 설립

(4) 종교 교육

(5) 여성, 유아, 특수 교육 

(6) 국내 유일의 신학 교육 기관 – 성신 대학과 성신 중·고등학교 

4) 결론 

5. 군부 정권 시기(1960-1987년)

강화되는 국가의 교육 통제

1) 제2공화국과 천주교회

2) 군부 정권의 종교 정책과 천주교회 

(1) 반공 주의를 매개로 박정희 정부와 맺은 협력 관계 

(2)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영향과 박정희 정부와 대립

(3) 신군부 세력의 등장과 한국 교회의 대응

3) 군부 정권의 교육 정책과 한국 교회 

(1) 국가의 학교 통제와 애국 시민 양성 

(2) 중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3) 종교 교육 통제 

4)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지속적인 학교 설립

(2) 환경 변화에 따른 폐교 

(3) 종교 교육 

(4) 여성, 유아, 특수 교육 

(5) 신학교 추가 설립과 문호 개방 

5) 결론

6. 민주화 시기(1987년-현재) 

가톨릭 학교의 정체성을 찾아서 

1) 1987년, 민주화 시대의 개막

2) 민주화 시기, 정부의 종교 정책과 천주교회 

3) 민주화 시기, 정부의 교육 정책과 천주교회 

(1) 시대 변화를 반영하는 교육 정책

(2) 사립 학교 지원과 통제 

(3) 종교 교육 정책 

4) 가톨릭 학교 교육 현황 

(1) 가톨릭 학교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노력

(2) 가톨릭 학교들의 새로운 도전

(3) 종교 교육 

(4) 여성, 유아, 특수 교육

(5) 신학교의 추가 설립과 부설 교육원 운영

5) 결론

나가며​ 


옮긴이 : 주교회의 교육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