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슬픔·사소함·서투름·근육·거울·직선과 곡선…”


그림 속에서 길어 올린 9개의 키워드에

철학과 문학을 곁들여

세상의 딸들에게 전하는 ‘진짜’ 아름다움


그림 속 철학 이야기를 담은 《다정한 철학자의 미술관 이용법》으로 많은 독자들을 만났던 이진민 작가의 신작 《언니네 미술관》이 출간됐다. 이번 책 역시 미술과 철학의 만남에서 출발한 것은 동일하지만 세상을 조금 더 먼저 살아가는 언니의 입장에서 후배 여성들, 세상의 모든 딸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미술을 매개로 한 여성들의 이야기’인 셈이다. 슬픔, 사소함, 서투름, 근육, 거울, 마녀 등 9개의 키워드로 그림을, 때로는 문학을 읽어가며 저자가 전하고픈 진정한 삶의 의미와 아름다움을 풀어낸다. 1부 ‘다시 바라볼 것들’에서는 그간 여성 희로애락의 무늬를 새겨온 것들에 관해, 2부 ‘크게 바라볼 것들’에서는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것들에 관해, 3부 ‘함께 바라볼 것들’에서는 사물의 뒷모습, 보이는 것 너머를 살피는 마음에 관해 이야기한다.


작가는 카페에 커피를 마시러 가듯 자주 미술관을 드나들고 산책하며 그림과 함께 일상에서 노는 법을 배웠다. 거기에 말랑한 언어로 사유하는 작가의 인문학적 시선이 더해져 어렵게만 생각했던 미술과 철학을 독자들의 일상으로 끌어들인다. 책을 추천한 김소연 시인의 말처럼 “우리의 낡은 통념들이 봄볕에 눈 녹듯 스르르 풀려 어떻게 자연스레 전복되는지, 사소함과 자상함과 섬세함에 깃든 힘을 문장으로 느끼게” 해준다.


“철학자 이진민은 맑게 사유한다는 것이 어떤 설득력을 지니는지 느끼게 해준다. 우리의 낡은 통념들이 봄볕에 눈 녹듯 스르르 풀려 어떻게 자연스레 전복되는지, 사소함과 자상함과 섬세함에 깃든 힘을 문장으로 느끼게 해준다. 그는 자신이 옹호하는 것들을 정확하게 옹호하기 위해 오로지 살아가는 사람 같다. 은은하고 아름답다. 이 책은 아름다움에 관한 오랜 오해에서 빠져 나와 진짜 아름다움을 만나게 되는 책이다. 이 전복적인 사유를 어떻게 이렇게나 보드랍게 전할 수 있을까. 철학과 미술과 문학이 한 이불을 덮고 다정해진 덕분일 것이다.”

_김소연 시인 추천의 말 중에서


목차
저자의 말

PART 1. 다시 바라볼 것들
1장. 근육-명사가 아닌 동사로 살아가기 위해
근육과의 거리두기 | 플라톤의 동굴 밖으로 나온 죄수 | 보티첼리의 비너스에게도 복근이 있다 | 연두부에서 단단한 두부로 | 보이는 몸과 기능하는 몸 | 우리 모두에게는 근육이 필요하다

2장. 마녀-이 단어에 무엇을 담아왔는가
딸들에게 불친절한 세상 | 가르바티, 메두사의 억울함에 답하다 | 슈투크의 그림 속 메두사의 눈동자 | 닥치거나 미치거나 | 워터하우스가 그린 키르케의 변화 | 우리 안의 마녀

3장. 거울-우리의 상(像)은 어디로 수렴하는가
반사와 반영의 사이 | 하디와 뭉크, 두 개의 거울 | 다정하지만 무례한 슬픔 | 시간의 두 얼굴, 크로노스와 카이로스 |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니 | 윌 코튼의 아이스크림 동굴 | 명령하는 자는 누구인가 | 몸보다는 몸가짐 | 들뢰즈의 아장스망, 그리고 외로

PART 2. 크게 바라볼 것들
1장. 슬픔-인간의 가장 무해하고 본질적인 감정
무성한 슬픔 | 오귀스트 쉥크의 어미 양 | 슬픔을 묻는 일 | 월터 랭글리, 슬픔이 슬픔에게 | 가장 무해하고 맑게 자리하는 것 | 슬픔은 힘이 세다 | 그늘을 읽는 일

2장. 서투름-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것
야코비데스의 아이들 | 서투름이 빛나는 이유 | 매끄러움의 이면 | 기술은 다정하고 도덕적일까 | 고흐와 밀레의 아름다운 격려 | 루소, 서투름의 철학 | 더 용감해지고 더 너그러워지는 우리

3장. 사소함, 익숙함, 하찮음-결코 사소하고 하찮지 않은 것
사소함의 단단함 | 결코 사소하지 않았던 이름, 엄마 | 페르메이르, 익숙함의 아름다움 | 그림 속 빛나는 푸른 치마의 의미 | 하찮음이라는 열쇠

PART 03 함께 바라볼 것들
1장. 직선과 곡선-나뉘었으나 나뉘지 않은 것들
직선과 곡선의 이분법 | 아우구스트 마케, 직선의 그림과 곡선의 그림 | 우로보로스의 세계 | 청자 베개가 건네는 말 | 이분법의 마음과 사이의 마음 | 김환기가 전하는 지혜

2장. 앞과 뒤-보이는 것 너머를 보는 일
뒷모습을 보지 못하는 사람들 | 마그리트의 그림과 거울 속 내 뒷모습 | 진실은 앞이 아니라 뒤에 | 시선의 범위 | 에른스트와 뒤집어 보는 사람들 | 뒤는 새로운 앞이 되고

3장. 너와 나-그럼에도 불구하고 곁에 서는 일
어디에 누구와 함께 | 브랑쿠시의 연인들, 갈라진 두 쪽 | 스며들고 침범하는 우리 | 마그리트의 연인들과 ‘이해’라는 환상 | 김홍도, 사이에 부는 바람 | 사람이 어디 한 겹이야? | 달과 물과 의자

글쓴이 :   이진민
어렸을 때부터 읽고 쓰는 것을 좋아하는 책탐 많은 아이였다. 세상을 보는 눈을 가지고 싶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했다. 맥주를 콸콸 마시면서 새로운 세상을 만났지만, 가끔은 이 산이 아닌가 보다 하는 나폴레옹의 마음을 느꼈다. 그러다 세부 전공으로 정치철학을 만났고 이거다 싶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멜론 장학금을 받으며, 그리하여 또 맥주를 쭉쭉 마시며 정치철학을 전공했다. 지금은 맥주가 샘솟는 나라 독일의 뮌헨 근교 시골에 살면서 이런저런 글을 쓰고 강의를 한다.
세상이 좀 더 다정해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고, 배운 건 남을 줘야 한다는 생각으로 강의를 한다. 세상에 해가 되지 않는 글과 생각을 내놓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커다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아이들에게 큰 해가 되지 않는 편안한 엄마가 되는 것 역시 인생의 중요한 목표. 철학을 일상의 말랑말랑한 언어로 바꾸는 데 관심이 많다. 지은 책으로 《나는 철학하는 엄마입니다》 《다정한 철학자의 미술관 이용법》 《아이라는 숲》 《동굴 밖으로 나온 필로와 소피》 《모든 단어에는 이야기가 있다》가 있다.
계속 사랑하고 계속 공부하며 계속 글을 쓰고 싶다. 아직도 가슴속에 쓰고 싶은 책이 여러 권 들어 있어 행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