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목차

글머리에 5


1장 최장수 현대화가의 마지막 필력

영생처가 정해지다 15

높을 ‘台’(태) 길 ‘徑’(경) 20

누가 평전을 적을 것인가 25

대척지향 서울 미대 두 교수 29

나도 한번 적어 볼 만하겠다 32


2장 김병기의 그림 입문

아버지가 후원한 일본 유학 39

양화연구소 출입, 그리고 후지타 회상 42

문화학원을 다니다 45

문화학원의 고향친구들 49

유학시절 작업들 52

무대미술 쪽도 관심 59

귀향의 시간 64

결혼 전야 66

글의 사람 69

〈삼사문학〉 동인 친구들 71

〈단층〉 동인들 74


3장 해방 전후 그리고 월남

한때의 마르크시즘 관심 79

김일성 치하에서 82

이태준에 대한 기억 86

북한 미술동맹 서기장이 되어 89

남행에 앞서 일단 몸조심 그리고 월남, 아니 탈북 92


4장 6.25 전쟁 발발 전후

6.25 전쟁 전야 99

피란을 못 갔다 102

스승 근원(近園)을 ‘보쌈’했던 빨갱이 106

고향 사람이 살려 주었다 111

다시 북한 땅에, 하지만 화급했던 피란길 115

부산 피란살이 120

종군화가단에서 활약 124

피카소의 6.25 전쟁 왜곡 참견 126


5장 환도 그리고 미술교육 일선

피카소 논란 끝 서울대 출강 135

정릉집 시대 138

미술의 대학교육과 중등교육 141

서울예고 미술부장, 미술도 조기교육 대상인가 145

바람직한 미술교육 방식은 151

장발 학장과 얽히고설켜 153

밀물 같던 오해도 세월 따라 썰물로 158


6장 미국으로 가는 길

비엔날레 커미셔너가 되어 163

록펠러재단 초대 손님 166

새러토가에 살다 171

형상이 있는 추상을 향해 173

새러토가의 사계 176

미국인 삶의 밑바닥 체험 179

미국 정착 초기 그림들 182

금강산을 생각하며 184

일용생활인 김병기 186

미국 생활 맛을 익힐 즈음 188

뉴욕 가면 만나던 김환기 190

드디어 아내가 왔다 194

새러토가의 부부생활 197


7장 다시 만난 고국산천

드디어 서울에서 개인전을 205

그림이 팔리다니 209

‘결코 늦지 않았던’ 파리의 만남 211

아내 타계 214

다시 파리로 216

다시 서울로 220

다시 로스앤젤레스로 223


8장 김병기의 미학

다다이즘 근친일 수밖에 없었던 사연 229

현대미술의 물꼬를 튼 다다이즘 234

‘행동적 휴머니스트’의 비판적 현실주의 237

레알리테의 반면교육 240

‘추상’ 낱말 용례와 김병기주의 243

화풍 변화의 분기점 245

김병기의 화면 구성 251


9장 이제 세월이 흐르지 않네

내쳐 백 살로 살고 있다 257

백수 잔치의 시발 국립현대미술관 회고전 259

한일 미술전 참여: 더 좋은 일은 아직 오지 않은 듯 262

일본 방문에 이은 중국 전시 267

그림 제작은 흐르는 물처럼 272


10장 바야흐로 백세청풍

바람이 일어나다 279

장수 덕분에 옛 친구들 미덕도 말하고 281

옥길, 동길 남매의 ‘길(吉)냉면’ 백수 잔치 285

바야흐로 그림에 시가 있는 풍경이 289

귀빈의 전람회 내방 291


11장 한국궤도 재진입의 통과의례

다시 한국 국적을 회복하니 297

좋은 일이 꼬리를 물다 301

드디어 막이 오른 일본 전시 312

예술원 회원으로 뽑히다 315

백수 그림은 하나님의 은총이 아니고서야 316


12장 백 살에 맞는 성시 나날

백 살 현역의 망중한, 그럼에도 공사다망 321

말문을 열지 않을 수 없는 나날들 323

어쩌다 나들이 326

열려 있던 화실 332

104세의 개인전 335

당신 그림을 위한 변호 337

거처는 멀어져도 마음은 여전히 가까워 340

내가 마지막 본 김병기 화백 344


부록: 대동강철교를 어떻게 넘을 수 있었던가 345

참고문헌 348

찾아보기 351

김병기 연보 362

글쓴이 : 김형국
1942년 경남 마산에서 났다. 서울대 사회학과와 행정대학원을 졸업했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에서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이던 사이(1975~2007년), 동 대학원 원장, 〈조선일보〉 비상임 논설위원, 한국미래학회 회장도 지냈다. 정년 뒤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제1기 민간위원장을 역임했다. 《한국공간구조론》, 《고장의 문화판촉》 같은 전공 서적에 더해 《장욱진: 모더니스트 민화장》, 《김종학 그림 읽기》, 《활을 쏘다》, 《우리 미학의 거리를 걷다》, 《박경리 이야기》 같은 방외(方外) 서적도 냈다. 인문학 연구가 학예일치(學藝一致)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과 바른 글쓰기 요령을 담아 《인문학을 찾아서》도 냈다. 인문적 행보로 원주의 토지문화관 건립위원장(1995년)과 서울스프링페스티벌 조직위원장(2006년)을 맡았고, 2014년 이래는 가나문화재단 이사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