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우리가 사랑한 옛집을 순례하다

“김명관 고택, 선교장, 임리정, 설선당, 남간정사, 소쇄원, 운현궁, 도산서당……”


집은 지붕이 있고, 바람을 막고, 비를 피하는 껍질이라는 의미 외에도 자기의 완성이라는 의미가 있다. 즉, 짓는 이의 생각과 철학을 담는다. 미국 소설가 올리버 웬들 홈스(Oliver Wendell Holmes)는 “우리가 사랑하는 곳은 집이다. 우리의 발은 떠나도 마음이 떠나지 않는 곳이 집이다”고 말했다. 몸이 떠나도 마음이 떠나지 않는 곳이 집이다. 집은 단순히 건축물이나 공간을 넘어 생각이 형체를 가지고 우뚝 솟아 있는 유기체와도 같다. 집은 생각으로 짓는 것이고, 모든 집은 의미가 있다. 사람이 각자의 모습으로 태어나고 각자의 이름을 가지고 살며 각자의 삶을 사는 것과도 같다.


집은 인간이 짓지만 시간이 완성시킨다. 건축의 가장 중요한 재료는 시간이다. 시간은 어떤 건물이든 장점을 만들어내고 단점을 덮어주고 아름답게 다듬어준다. 시간을 품고 있는 건물이 아름답게 보이는 것은 단순한 물성에 대한 감성에 더해 우리에게 시간의 흔적이 주는 감성이 보태지기 때문이다. 인간은 시간이 만든 그 아름다움을 모르고, 혹은 알면서도 외면한 채 지우기도 한다. 그렇게 집은 우주의 호흡처럼 크고 우렁차지만 시간이 켜켜이 쌓인 삶의 숨결을 오롯이 들려준다. 지금 우리의 옛집을 만나는 일은 과거의 시간을 만나는 일이자, 집의 미래를 기억하는 일이기도 하다.


호남평야의 평온한 조화를 닮은 김명관 고택은 서로를 배려하는 집이다. 집의 모든 공간은 이야기가 흘러가듯 서로 조금씩 간섭을 하면서 흘러간다. 강릉에 있는 오래된 부잣집인 선교장은 세상의 중심이 되는 집이다. 사회의 가장 작은 단위이며 가장 핵심의 단위인 가족을 중심으로 삼고자 했던 이내번의 철학이 담겨 있다. 남간정사는 송시열이 평생의 학문을 정리해서 지어놓은 집이며, 작고 소박한 듯하면서 자연의 온갖 아름다움을 세세히 담아낸 집이다. 종묘는 영혼이 사는 집이고 신이 사는 집이다. 인간의 척도가 아닌 신의 척도로 지어진 그 수평적 무한성과 공간감은 우리의 감각을 넘어선다.


임형남, 노은주의 『집의 미래』에는 우리가 사랑한 오래된 집들을 순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삶이 담긴 살림집과 자연에 스며들어 또다른 자연이 된 사찰 등 한국의 대표적인 옛집 32군데를 순례하면서 미래의 집을 생각한다. 그 오래된 집들은 정지해 있어도 무척 강한 움직임이 있고, 경계를 넘나들며 독특한 경지를 이룬 우리의 문화를 상징하기도 한다. 제1부는 한국의 옛집을 순례한다. 산천재, 선교장, 임리정, 소수서원, 남간정사, 경복궁 등 우리의 옛집 15군데를 둘러본다. 제2부는 한국의 사찰을 순례한다. 화엄사, 통도사, 선운사, 실상사, 황룡사지, 미륵사지 등 우리의 사찰 17군데를 둘러본다.

목차

책머리에 · 7


제1부 한국의 옛집


제1장 이야기를 담다


산과 하늘처럼 변하지 않는 집 : 산천재

마음으로 도를 깨닫다 · 19 제일 큰 집이자 좋은 집 · 23 세상의 바람에 휩쓸리지 않다 · 27

세상의 중심이 되는 집 : 선교장

위계가 없고 기능도 없다 · 31 모든 땅이 명당이다 · 34 진정한 의미의 대가족을 이루다 · 39

서로를 배려하는 집 : 김명관 고택

호남의 풍족한 들판을 닮다 · 43 다양한 공간의 조화로운 구성 · 46 시어머니 영역과 며느리 영역의 균형감 · 52

권력의 상징이 된 집 : 운현궁

야심가이자 영리한 정치가 · 56 몰락해간 조선의 두 주인공 · 60 집이지만 집이 아닌 곳 · 63


제2장 생각을 이어가다


스승과 제자의 집 : 임리정과 팔괘정

꽃이 피고 지듯 사람도 피고 지다 · 69 시대를 설계하고 시공하다 · 72 예학자의 삶을 담다 · 76

존중하며 공부하는 집 : 소수서원

학교와 군대와 감옥은 같다 · 81 성리학을 잇고 후학을 양성하다 · 84 서로에 대한 존경과 애정 · 88

반듯하고 삼가는 집 : 병산서원과 도산서원

선비처럼 반듯하고 엄격하다 · 93 몸과 마음을 삼가다 · 97 인간으로서 완성되어가는 과정 · 101

유쾌하고 인간적인 집 : 도동서원

철학자가 나라를 다스리는 이상적인 국가 · 104 성리학적인 이상세계를 꿈꾸다 · 108 아주 정연한 좌우 대칭의 공간 · 111


제3장 조화를 이루다


물 위에 앉은 집 : 남간정사

고집스럽고 타협을 모르는 정치가 · 117 만화경 같은 세상의 풍경 · 121 자연과 집의 조화 · 125

그림자가 쉬는 집 : 소쇄원과 식영정

아름다운 풍경과 문학적 향기를 담다 · 129 시작과 끝의 존재적 순환 · 132 한 발 물러서 있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다 · 136

감각을 뛰어넘는 집 : 종묘

움직이는 것도, 정지해 있는 것도 아닌 · 141 처음으로 느껴보는 감각 · 145 모든 소리와 생각을 압도하다 · 148

왕이 사는 집 : 경복궁

국가의 상징인 궁궐 · 153 단정하고 품위 있는 집 · 156 마당에 나무를 심지 않는 이유 · 160


제2부 한국의 사찰


제1장 처음으로 돌아가다


그물같이 긴밀하게 상생하다 : 화엄사

서로 어울리는 경지 · 167 수많은 절을 품은 지리산 · 171 모든 것의 경계가 사라지다 · 175

없음으로 가득한 존재 : 통도사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 · 179 모든 형상은 모양이 없다 · 184 석가모니도 없고 미륵불도 없다 · 186

티끌에도 세계가 있다 : 해인사

모든 것이 곧 하나다 · 191 스님들의 기상이 넘치는 예불 · 194 화엄의 정신이 깃들다 · 197

부처의 세상을 함께 만들다 : 부석사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 202 천상의 소리처럼 황홀하다 · 206 성과 속이 함께 있다 · 209


제2장 미래를 보다


존재하는 것은 순환한다 : 내소사

시작이 끝이 되다 · 215 모든 차원이 서로 물려 있다 · 219 맞물리는 공간의 구조 · 221

살아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다 : 선운사

4월의 동백꽃을 보러 갔다 · 226 금강석처럼 견고하고 자유롭다 · 229 중생의 자리에서 부처의 자리로 · 233

모든 것을 품어주다 : 실상사

어머니 같은 깊은 산 · 238 천왕봉은 쉽게 만날 수 없다 · 242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 · 245

창조의 영감을 얻다 : 무위사

바람과 같고 그림자와 같다 · 250 진리의 전당에 들어서다 · 253 여행을 통해 배우는 건축 · 257


제3장 경계를 넘나들다


그곳에 깨달음이 있다 : 기원정사와 황룡사지

비틀스와 동양의 정신 · 263 깨달음이 찾아오는 순간 · 268 비어 있음으로 가득 차다 · 271

사라진 것을 기억하다 : 진전사지와 대동사지

폐허가 들려주는 이야기 · 275 크게 비어 있다 · 279 천년을 비추는 빛 · 282

인간이 짓고 시간이 완성하다 : 거돈사지와 흥법사지와 법천사지

아름다운 시간의 흔적 · 286 도시의 풍경을 구경하는 여행 · 290 시간의 성찬을 즐기다 · 293

영원한 현재를 살다 : 미륵사지와 굴산사지

시간은 흘러간다 · 297 시간을 지워버리다 · 301 과거를 더듬는 시간의 문 · 304


주 · 308


글쓴이 :   임형남
건축은 땅이 꾸는 꿈이고, 사람들의 삶에서 길어 올리는 이야기다. 임형남·노은주 부부는 땅과 사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둘 사이를 중재해 건축으로 빚어내는 것이 건축가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이들은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동문으로, 1999년부터 함께 가온건축을 운영하고 있다. ‘가온’이란 순우리말로 가운데·중심이라는 뜻과 ‘집의 평온함(家穩)’이라는 의미를 함께 갖고 있다. 가장 편안하고, 인간답고, 자연과 어우러진 집을 궁리하기 위해 이들은 틈만 나면 옛집을 찾아가고, 골목을 거닐고, 도시를 산책한다. 그 여정에서 집이 지어지고, 글과 그림이 모여 책으로 엮인다.
2011년 ‘금산주택’으로 한국공간디자인대상을, 2014년 ‘루치아의 뜰’로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우리사랑상을, 2020년 ‘제따와나 선원’으로 아시아건축사협회 건축상을 수상했다. 2023년에는 미국의 디지털 건축 미디어 플랫폼 ‘아키타이저(Architizer)’가 ‘가온건축’을 한국 최고의 건축사사무소 1위에 선정했다.
저서로 『나무처럼 자라는 집』(20주년 기념판), 『공간을 탐하다』, 『건축탐구 집』, 『도시 인문학』, 『집을 위한 인문학』, 『골목 인문학』, 『내가 살고 싶은 작은 집』, 『생각을 담은 집 한옥』, 『그들은 그 집에서 무슨 꿈을 꾸었을까』, 『집, 도시를 만들고 사람을 이어주다』, 『사람을 살리는 집』, 『작은 집 큰 생각』, 『이야기로 집을 짓다』, 『서울 풍경 화첩』 등이 있다. EBS 〈건축탐구-집〉에 출연해 집의 존재 이유와 중요성을 전했다. 임형남은 2023년부터 (사)새건축사협의회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글쓴이 : 노은주
건축은 땅이 꾸는 꿈이고, 사람들의 삶에서 길어 올리는 이야기다. 임형남·노은주 부부는 땅과 사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둘 사이를 중재해 건축으로 빚어내는 것이 건축가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이들은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동문으로, 1999년부터 함께 가온건축을 운영하고 있다. ‘가온’이란 순우리말로 가운데·중심이라는 뜻과 ‘집의 평온함(家穩)’이라는 의미를 함께 갖고 있다. 가장 편안하고, 인간답고, 자연과 어우러진 집을 궁리하기 위해 이들은 틈만 나면 옛집을 찾아가고, 골목을 거닐고, 도시를 산책한다. 그 여정에서 집이 지어지고, 글과 그림이 모여 책으로 엮인다.
2011년 ‘금산주택’으로 한국공간디자인대상을, 2014년 ‘루치아의 뜰’로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우리사랑상을, 2020년 ‘제따와나 선원’으로 아시아건축사협회 건축상을 수상했다. 2023년에는 미국의 디지털 건축 미디어 플랫폼 ‘아키타이저(Architizer)’가 ‘가온건축’을 한국 최고의 건축사사무소 1위에 선정했다.
저서로 『나무처럼 자라는 집』(20주년 기념판), 『공간을 탐하다』, 『건축탐구 집』, 『도시 인문학』, 『집을 위한 인문학』, 『골목 인문학』, 『내가 살고 싶은 작은 집』, 『생각을 담은 집 한옥』, 『그들은 그 집에서 무슨 꿈을 꾸었을까』, 『집, 도시를 만들고 사람을 이어주다』, 『사람을 살리는 집』, 『작은 집 큰 생각』, 『이야기로 집을 짓다』, 『서울 풍경 화첩』 등이 있다. EBS 〈건축탐구-집〉에 출연해 집의 존재 이유와 중요성을 전했다. 임형남은 2023년부터 (사)새건축사협의회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