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광안리 베네딕도 수녀원에는 철철이 꽃이 핀다. 해인 수녀는 수십 년을 거기서 살았다. 수녀원 꽃밭에 해인이 모르는 꽃도 없고 해인을 모르는 꽃도 없다. 평생 꽃을 보았고 다가가 이름 불러 주었고 꽃과 놀았고 꽃을 노래했다. 그것이 모두 기도가 되었다. 꽃기도는 하늘에 닿아 반달로, 구름으로, 무지개로 떴다. 해인 스스로 꽃이었다. 이제 우리는 꽃이 된 해인을 글로 만난다.



88편의 꽃시들이 주저리주저리 열렸다.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잊었던 네 이름을 찾아" - 작지만 눈부신 꽃들이 모여 사는 곳.

2부 "나의 눈물에도 향기가 피어날까" - 아, 찬란함 뒤에 숨은 아픔이여, 해인의 눈이 그 아픔을 읽었다.

3부 "우리 서로 사랑하면 언제라도 봄" - 꽃과 관련된 일상의 소담스러움.



해인 수녀는 각 시마다 단상을 달았다. 시 행간에 꼭꼭 숨어 있던 시인의 상념들이다. 이 꽃은 어떻게 시가 되었나, 이 시에는 누구의 기억이 스며 있을까... 이제는 그 속내를 해인의 입으로 직접 들을 수 있어서 좋다. 화가 하정민은 각 시에 어울리는 꽃그림을 한아름 그려 주었다. 하정민의 꽃그림은 꽃이 꽃으로 보이지 않고 꿈으로, 사랑으로 보인다. 그래서 꽃시집이 더욱 꽃시집 다울수 있었다고 말한다.



해인의 오랜 벗이 책말미에 아름다운 글로써 소녀 시절의 해인을 추억했다. 어린 한때를 함께 했던 옛 동무 해인의 모습이 맑고 신선하다. 젊은 음악인 김정식 님은 서시 "꽃의 길"에 곡을 붙여 주었다. 그 악보가 이 시집의 끝이다. 시를 다 읽고 온 마음이 꽃향기에 흠뻑 취하거든, 꽃길 따라 걷듯 나지막이 불러 봐도 좋겠다.



" 이 시집은 과분한 사랑을 받은 내가 사람들에게 보내는 러브레터다. 어느날 꽃나무 앞에 서서 한송이의 꽃이 피어날 때까지의 과정을 생각하며 '참 먼길이구나'하고 혼잣말을 한 적이 있다. 기다림의 먼 길을 돌아와야만 우리 삶도 조금씩 아름답게 피어날 수 있다. 사람들은 모두 삶의 정원에서 핀 고유의 향기를 지닌 꽃이다 사람들이 이 시집을 읽고 그런 생각을 했으면 좋겠다." - 문화일보 인터뷰 중에서 이해인 수녀..





해인의 말 / 어느 날 꽃나무 앞에 서서

서시 / 꽃의 길



잊었던 네 이름을 찾아

민들레(1)

민들레(2)

민들레의 영토

채송화꽃밭에서

개나리

진달래

도라지꽃

봉숭아

분꽃에게

나팔꽃

달맞이꽃

사르비아의 노래

...


나의 눈물에도 향기가 묻어날까

부겐베리아

상사화

복사꽃과 벚꽃이

백목련

자목련 아가雅歌

라일락

유채꽃

붓꽃

수선화

장미를 생각하며

장미의 기도

백합의 말

...



우리 서로 사랑하면 언제라도 봄

꽃마음으로오십시오

꼬마음 별마음

꽃이름 외우듯이

꽃의 연가

눈물꽃

꽃이야기 하는 동안은

꽃멀미

기쁨꽃

어느 꽃에게

꽃밭에 서면

아침 꽃밭에서

꽃을 받은 날

...



해설 / 하느님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꽃의 노래(김혜영)

벗이 벗에게 / 해인이, 내게는 별 같던 아이(유 데레사)

악보 하나/ 꽃의 길(김정식)



글쓴이 :  이해인 수녀


소녀 시절 타고르의 시 「꽃의 학교」와 한용운의 시「꽃싸움」을 읽고 더욱 꽃이 좋아졌다는 시인 이해인 수녀는, 그가 늘 "민들레의 영토"라고 부르는 부산 광안리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원에서 향기나는 글을 쓰고 있다. 시집 『민들레의 영토』『내 혼에 불을 놓아』『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시간의 얼굴』『엄마와 분꽃』『외딴 마을의 빈집이 되고 싶다』『작은 위로』등을 펴냈으며 산문집『두레박』『꽃삽』『사랑할 땐 별이 되고』『향기로 마을 거는 꽃처럼』『기쁨이 열리는 창』등을 펴냈다. 또 마더 데레사의 『아름다운 선물』외 몇 권의 번역집과 『사계절의 기도』외 여러 시선집이 있다.


제 9회 새싹문학상, 제2회 여성동아 대상, 제6회 부산 여성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시와 동시들은 초중고 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있을 만끔 종ㄹ파를 초월하여 수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모든 꽃들을 다 좋아하지만 10대엔 코스모스, 20대엔 민들레, 30대엔 진달래, 40대엔 치자꽃, 50대엔 장미를 좋아했다는 그는 이제 이순의 나이에 접어들면서 수녀원 뜰의 천리향, 만리향을 사랑하며 시를 통해 먼 데까지 사랑과 기도의 향기를 날리고 싶어한다.

꽃이 시가 되고 시가 꼬칭 되는 삶을 그는 하느님을 향한"그리움의 향기"라고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