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사제 양성은 단일한 제자의 길의 연속이다. ······ 초기 양성과 지속 양성은 모두 통합적 시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 이러한 양성은 시작부터 분명하게 공동체적 성격을 지니고 ······ 선교적 특성을 분명하게 지닌다." 이에 한국 천주교회는 "미래의 사제들이 자기 직무를 수행할 때에 직면하게 될 개별 사회, 문화, 교회 상황"에 주목하면서 한국 지역 사회와 전 세계 선교를 위한 사제를 우리가 속한 공동체 안에서 통합적 시각으로 양성하려는 지침서를 마련하였다.
「사제성소의 선물」을 바탕으로 마련한 『한국 천주교 사제 양성 지침』(개정)은 통합적인 양성 여정의 첫 번째 단계인 초기 양성에서 한국 상황에 적합한 예비 과정을 제안하였다.
청소년 성소자가 많은 한국 천주교회에서 이미 다년간 경험이 있는 예비 신학생 모임은 필수 단계인 예비 과정을 대신하는 운영 체계로 손색이 없을 것이다. 한국 천주교회는 중학교 3년과 고등학교 3년을 합하여 총 6년 동안 주말과 방학 기간을 통하여 운영하는 예비 신학생 모임에서 예비 신학생에게 공동체성을 함양시키며 예비 과정에서 권고하는 필수 교육을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성소 사목은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연령대의 성소와 다양한 이민의 성소에 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 천주교 사제 양성 지침』(개정)은 초기 양성에서 최근 사회상을 많이 반영한 덕목들을 제안하였다. 오늘날 사람들이 대중 매체와 사회관계 망을 통해서 대중과 소통하는 세태를 반영하여 신학생을 신학교에서부터 이 현상을 신중하고 현명하게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양성자는 오늘날 국내외 일반 사회에서도 높아진 윤리 의식을 반영하여 이성뿐 아니라, 동성 간에도 성희롱, 성폭력과 같은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교육을 철저히 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제 양성과정에서 건강 문제도 중요한 주제이다. 따라서 양성자는 최초 성소 선발 시기와 양성 기간에 식별 과정에서 신학생의 신체 건강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구체적인 질병의 종류를 숙지하면서 신학생의 정신 건강에 관해서도 깊은 염려를 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 천주교 사제 양성 지침』(개정)은 한국 천주교회가 일찍이 실천하던 양성 여정의 후반부인 지속 양성에 더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확장하여 제안하였다. 각 교구에 설치된 사제 평생 교육원은 이미 시행하던 새 사제와 보좌 신부를 위한 교육을 비롯하여 전문 분야에서 사목하는 사제를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모든 사제를 대상으로 하는 정기 교육과 중견 사제 교육도 더 심화하여 세심하게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제들은 「사제성소의 선물」이 지속 양성 단계에서 언급한 성사적 형제애를 계승하면서 성사적 형제애를 표현하는 구체적 방법들을 자세히 익혀 실천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한국 천주교 사제 양성 지침』(개정)은 한국 교회와 한국 사회에서 사목할 사제에게 한국 전통 문화유산과 심성을 잘 이해하도록 동양 철학과 동양 종교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라는 제안을 잊지 않았다. 특히 사제가 한국에서 널리 알려진 대중 영성과 한국 순교 영성을 깊이 이해하는 것은 사목 현장에서 자신과 신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번 『한국 천주교 사제 양성 지침』(개정)은 21세기 사목 현장으로 파견되는 사제를 양성하는 데 훌륭한 기준과 규범을 제공할 것이다.
머리말
제1장 총칙
1. 지침의 목적과 근거
2. 지침의 권한과 적용
3. 지침의 방향
제2장 사제 성소
4. 사제의 신원
5. 사제의 직무
6. 성소 사목을 위한 교회의 임무
1) 교구장 주교의 임무
2) 사제의 임무
3) 가정의 역할
4) 본당의 역할
7. 성소 사목을 위한 방안들
1) 청소년을 위한 성소 사목
2) 성소국의 설립과 운영
3) 예비 신학생 모임
4) 성소 증진을 위한 특별한 의미의 전례 거행
8. 사제성소의 다양성
1) 다양한 연령대의 사제성소
2) 다양한 이민들의 사제성소
제3장 양성의 기초
9. 양성 목적
1) 그리스도께 동화되는 사제
2) 공동체에 봉사하는 사제
3) 친교를 이루는 사제
4) 선교하는 사제
10. 양성 방법
1) 개별 동반
2) 공동체 동반
11. 양성 여정의 특징
1) 양성의 통합성
2) 양성의 단일성
제4장 초기 양성 과정
12. 초기 양성 과정의 구조
13. 예비 과정
1) 예비 과정의 목표
2) 예비 과정의 내용
14. 제자 과정
1) 제자 과정의 목표
2) 제자 과정의 내용
3) 군 복무와 사목 실습
4) 성품 지원자 선발
15. 동화 과정
1) 동화 과정의 목표
2) 동화 과정의 내용
3) 직 수여
4) 성품 청원
5) 피정
16. 성소 통합 과정
1) 성소 통합 과정의 목표
2) 성소 통합 과정의 내용
3) 사제 서품
4) 지속 양성과 연결
제5장 양성의 차원들
17. 공동체와 선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양성
가) 인성양성
18. 인성 양성의 의미와 목표
19. 성숙한 인격과 관계성
20. 공동체 생활
21. 대중 매체와의 관계
나)영성 양성
22. 영성 양성의 의미와 목표
23. 말씀과의 친밀함
24. 거룩한 신비에 참여
25. 침묵
26. 사람들 안에서 그리스도를 찾음
27. 고해성사와 영성 지도·피정
28. 성모 신심과 성인 공경
29. 복음적 권고
1) 순명
2) 정결
3) 청빈
다) 지성 양성
30. 지성 양성의 의미와 목표
31. 분별력
32. 신앙의 빛을 통한 사고방식 형성
33. 양성에서 학업의 위치
34. 한국 전통문화와 심성의 이해
라) 사목 양성
35. 사목 양성의 의미와 목표
36. 사목적 식별
37. 경청의 저세와 대화
38. 사목 양성과 선교
39. 사목 실습
40. 사목 양성
제6장 초기 양성의 학업 체계
41. 교육 연한
42. 철학 교육
1) 철학 교육의 목적
2) 철학 교과목의 방향
3) 그리스도교 철학의 중요성
4) 동양 철학의 필요성
43. 신학 교육
1) 신학 교육의 목적
2) 신학 교육과 영성 생활
3) 신학 교과목의 방향
44. 사목 교육
1) 사목 교육의 목적
2) 사목 교과목의 방향
3) 사목 교육에서 동반의 의무
45. 언어와 교양 교육
1) 언어 교육의 필요성
2) 교양 교육의 필요성
46. 논문과 종합시험
제7장 양성의 주체들
47. 사제 양성의 최고 주체이신 성삼위
48. 교구장 주교
1) 책임과 의무
2) 양성자의 선발과 준비
49. 신학생
50. 양성자 공동체
1) 구성
2) 양성자 공동체의 일치와 공동 양성
3) 양성자 공동체의 임무
4) 신학교의 장(총장, 학장, 원장, 교장)
5) 영성 지도자
6) 각 분야의 책임자
7) 연수, 교육, 피정
51. 교수
1) 임명
2) 자격
3) 임무
52. 사제 양성의 또 다른 주체들
1) 사제
2) 신앙이 깊은 전문가
3) 심리학 분야의 전문가
4) 가정 공동체
5) 본당 공동체
6) 평신도와 축성 생활자
제8장 기준과 규범
가) 신학교
53. 신학교의 목적과 다양한 형태
54. 신학교의 설립과 운영
55. 신학생의 거주
나) 입학, 퇴학, 학업 중단
56. 신학교 생활 규칙
57. 신체 건강
58. 정신 건강
59. 퇴학 절차
60. 소속을 변경하려는 신학생
다) 정밀 조사
61. 서품 후보자에 대한 정밀 조사
라) 성과 독신 생활에 관한 기준
62. 동성애 성향 신학생의 식별 기준
63. 성폭력의 범위와 사전 조사
64. 성폭력 예방 교육과 주제들
제9장 지속 양성 과정
65. 지속 양성의 의미와 필요성
66. 지속 양성의 목적
67. 지속 양성의 형태
1) 새 사제 교육
2) 보좌 신부 교육
3) 정기 교육
4) 중견 사제 교육
5) 전문 분야 교육
68. 지속 양성의 구체적 적용
1) 형제적 만남과 단체들
2) 영적 동반과 고해성사
3) 피정
4) 공동생활
5) 소임을 맡지 않은 사제에 대한 배려
69. 지속 양성을 위한 임무
1) 주교들의 임무
2) 사제들의 임무
3) 평신도들의 임무
70. 지속 양성을 위한 기구
맺음말
글쓴이 : 한국천주교주교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