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는 오늘 어떻게 세계를 뒤흔들게 되었나?

유럽과 북미 중심의 문화제국주의를 전복시키고 있는 한류!

조금 어질어질하지만, 참으로 신난

역동적인 한류 신드롬을 33가지 코드로 정리하다!


K-팝, K-영화, K-드라마, K-골프, K-클래식, K-발레, K-푸드, K-게임, K-뷰티, K-패션, K-사우나, K-방역……. 한류, 그 허리케인을 목격하면서 한국인은 어떻게 세계 문화를 제패했을까? 왜, 한인은 그토록 예술혼이 빼어났을까? 이 한류의 힘은 어디서 올까? 한국인과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코드는 무엇일까? 이 질문들은 결국 한국인은 누구인가를 돌아보는 화두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 민족 고유의 한(恨)과 음주가무(飮酒歌舞)를 비롯해 빨리빨리, 눈치, 풍자와 해학, 저항 정신, 한글, 백의민족, 전통놀이, 김치와 고추장, 비빔밥, 쇠젓가락, 보자기, 보따리, 보쌈, 그리고 유관순, 해녀와 박세리로 대표되는 강인한 여성…… 등등, 33가지 코드로 지금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한류의 뿌리를 탐색하는 가슴 짜릿한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목차

여는 글


1부 한국인에 대해 알아야 할 몇 가지

#1 비빔밥 정신

비빔밥 정신/ 비빔밥: 개방성, 융통성, 균형과 화합/ 할리우드 장르의 규칙을 깬 봉준호/ 한식의 해체: 구절판, 신선로, 부대찌개, 쌈, 삼합?/ 무엇이든 통하는’ 한국 문화


#2 빨리빨리 문화

코로나19, ‘K-방역’의 부상/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빨리빨리’ 민족으로/ ‘잘 살아보세’와 새마을운동/ 8282 공화국/ 한국의 속담과 줄임말: 효율성과 유머/ ‘브라질 출신 한인 세 자매 성공의 비결: 빨리빨리!/ 빨리빨리 정신: 힘인가, 독인가?


#3 눈치의 달인들

한인 2세 유니 홍과 눈치의 힘/ 눈치의 달인이 되는 비결, 처세술 책 홍수/ 눈치 안테나: 성공과 행복의 열쇠/ 오스카상 시상식: 봉준호 감독의 눈치와 재치


#4 저항의 민족

3·1운동에서 촛불혁명까지/ 2016~2017년 촛불혁명/ 저항의 역사/ 3·1독립만세 운동/ 엘리자베스 키스가 본 일제강점기 조선인/ 간디, 네루, 저우언라이와 3·1운동/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 2008년 광우병 촛불시위/ 저항의 문화/ <뉴욕타임스> 2018년 3월, 유관순 사망 기사 보도/ 블랙리스트 감독: 봉준호(「기생충」)와 황동혁(「오징어 게임」)/ 미씨USA 회원들 NYT 에 세월호 참사, 박근혜 정권 비판 광고


#5 한(恨)과 한국 영화 르네상스

트라우마의 나라, 드라마의 문화/ 한국산 웹툰 영화-드라마로, 세계로/ 한국 영화 1: 7080 암흑기/ 한국 영화 2: 뉴웨이브/ 한국 영화 3: 르네상스/ 한국 영화 4: 「기생충」과 그 이후


#6 쇠젓가락 유전자

“한국 여자 양궁 성공 비결은 김치와 젓가락” _로이터 통신/ 쇠젓가락 유전자: 국제기능올림픽/ 반도체, IT(정보통신), 성형수술, 클래식 강국/ 한중일 3국의 젓가락과 테크닉/ 이어령 교수의 ‘젓가락 예찬’/ 미국 한인 이민자 주력 업종: 병아리 감별사, 네일 살롱


#7 세탁의 장인들

한인 이민자, 미국 세탁업계를 장악하다/ 빨래는 백의민족의 장기/ 2020 세계 최고의 세탁기: LG와 삼성/ 백의민족의 세탁 기술/ 다듬이질 문화/ 빨래와 한국 문화: 회화, 무용, 뮤지컬, 영화, 시/ 한인 이민자들의 꿈: 자녀들의 성공을 위하여


#8 복(福)을 싸드립니다: 보자기, 보따리와 보쌈

보자기에 관한 이야기/ ‘보자기 작가’ 이정희/ ‘보따리 작가’ 김수자/ 뉴욕의 ‘보쌈’ 셰프 데이비드 장/ 보자기, 보따리, 보쌈: ‘복(福)’을 기원하는 한민족


2부 조선, 코레아, 코리아


#9 고요한 아침의 나라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의 조선 사람들/ 길쌈, 짚신 기술에서 자동차, 반도체, 스마트폰까지


#10 호머 헐버트와 세계인의 한글 예찬

세계적 작가와 언어학자들의 한글 예찬/ 호머 헐버트의 ‘코리안 오디세이’/ 한글이 세계 최고의 글자인 이유/ 디지털 시대 한글의 힘/ 세계인의 한글 배우기 열풍/ 세계문자올림픽대회와 한글박물관


#11 오징어 게임과 ‘놀이의 왕국’

‘게임 한류’, 한류 콘텐츠 수출 1위/ 스튜어트 컬린의 『한국의 놀이』/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1년 24절기 한국의 세시풍속/ 현대의 한국 풍속놀이/ E스포츠 게임의 슈퍼스타 ‘페이커’ 이상혁/ 놀이 정신과 K-문화


#12 모자의 왕국

킹덤 오브 햇/ 개화기 서양인들의 조선 모자 예찬/ 일제강점기 서양화가들이 포착한 조선인과 모자/ 쇼킹 단발령과 상투의 실종/ 왜 미국 남자들은 모자를 벗었나?/ 나폴레옹 황제 모자를 240만 달러에 구매한 하림기업/ 뉴욕의 스타 모자 디자이너 유지니아 김/ 캐롤리나 헤레라: “갓과 한복은 내 영감”/ 브루클린 미술관 소장 조선 ‘용봉문 두정투구’/ 뉴욕 전시 「조선: 모자의 나라」


3부 음주가무(飮酒歌舞)를 즐기는 민족


#13 먹고

한국계 뮤지션 미셸 자우너, H마트에서 울다/ 「대장금」 신드롬/ 「식객」: 만화에서 영화에서 드라마로/ 비언어 뮤지컬 「난타」/ 영화 「기생충」 속의 음식 코드/ <워싱턴포스트>, 한식의 철학 찬사


#14 마시고

술에 관한 수많은 말, 말, 말/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 가지 이유」/ 홍상수 영화: 술과 말과 로맨스/ 봉준호 감독의 오스카 수상 소감/ 세계로 간 소주와 막걸리/ 뉴욕 고급 레스토랑 정식, 아토보이의 소주, 막걸리 메뉴


#15 노래하고

한국의 오페라: 판소리/ 일제강점기 동요와 항일 노래/ TV 노래 경연 프로그램/ 전 국민의 가수화, 시위에선 ‘떼창’/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코리안/ 뮤지컬의 한인들/ 뮤지컬 「케이팝(KPOP)」 브로드웨이로


#16 춤추고

아름다운 우리 춤/ K-발레: 세계 발레단의 K-무용수/ 코리아: 브레이크댄스 강국/ K팝의 매력: 춤, 춤, 춤/ 무용가 김영순과 덤보댄스 페스티벌/ 쿠니 마사미(박영인): 일제강점기 무용수이자 스파이


4부 한국인의 힘


#17 ‘미국 태권도의 아버지’ 이준구 대사범

미국 태권도의 아버지/ 엘비스 프레슬리, 클린턴, 오바마 태권도 수련/ 최초의 한류 스타, 이준구 대사범의 드라마틱한 삶/ 브루스 리(이소룡)와의 우정/ 무하마드 알리의 코치/ 9월 4일은 세계태권도의 날


#18 김치와 고추장: 발효, 그 느림의 맛

미국 슈퍼마켓마다 김치 진열, 김치 조리법 인기/ “오래 살고 싶다면? 한국으로 가라!”/ 김치와 고추장/ 김치 사업에 투신한 한인 2세들/ 코리안아메리칸 셰프가 뜬 이유/ 쌈장 전도사들/ 중국 ‘김치 종주국’ 주장, 뉴욕 ‘김치의 날’ 제정


#19 한국 여성 속의 여신들

자가 격리의 원조, 웅녀의 끈기/ ‘여왕의 시대’ 신라: 선덕, 진덕, 진성/ 3천 궁녀, 논개와 유관순의 절개/ 현모양처 신사임당, 백인당의 교육열/ ‘아시아의 아마조네스’ 제주 해녀들/ 미국 역사 속 위대한 여성들


#20 도서 한류(K-Book)와 한국 여성 인권

『82년생 김지영』 세계 열풍/ 환자와 화자: 김지영과 정신과 의사/ 코리아: 경제 선진국, 여성 인권 후진국/ 여성가족부와 인권 문제/ 뿌리 깊은 성차별: 여성 비하 속담 15/ 미국과 한국 여성 참정권/ 여성 작가들의 힘: 한강-수잔 최-최돈미-캐시 박 홍 이민진


#21 그린의 여왕들, 골프의 여신들

한국 여자 골프가 세계 최강이 된 일곱 가지 이유


#22 풍자와 해학의 정신: 강남 스타일, 기생충과 마거릿 조

싸이와 「강남 스타일」의 풍자와 해학/ 봉준호와 「기생충」의 블랙 유머/ 마거릿 조: 미국 스탠드업 코미디의 여왕/ 마거릿 조의 후예들


5부 한국인의 유전자


#23 조선 르네상스와 이탈리아 르네상스

『킹 세종 더 그레이트』/ 세종대왕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발명의 천재들/ 음악가로서 세종과 레오나르도/ 세종대왕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 조선 르네상스와 이탈리아 르네상스


#24 ‘비디오 아트의 대부’ 백남준과 후예들

백남준의 후예 8인방


#25 정경화에서 임윤찬까지, 클래식 강국 코리아

한국 클래식의 수수께끼/ 국제 차이콥스키 콩쿠르/ 레벤트리트 국제 콩쿠르/ 메리웨더 포스트 콩쿠르/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로스트로포비치 국제 첼로 콩쿠르/ 국제 쇼팽 피아노 콩쿠르/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 부소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밴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 클리블랜드 국제 피아노 콩쿠르/ 윌리엄 카펠 국제 피아노 콩쿠르/ 파가니니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콩쿠르가 필요 없었던 바이올린 신동 사라 장/ 뉴욕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한인 연주자들/ 작곡가 진은숙 & 지휘자 김은선/ 그래미상과 한국인


#26 ‘우리 시대의 비틀스’ 방탄소년단(BTS)

비틀스와 BTS 방탄소년단/ 비틀스 vs. 방탄소년단/ 희망의 시대에서 온 BTS/ BTS 솔로 프로젝트


#27 피는 물보다 진하다

성악가 앤드루 갱게스타드(정우근)/ 발레리나 제니퍼 월렌(남지연)/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 화가 사라 세진 장(장세진)/ 영화감독 디안 보셰 림(강옥진)/ 셰프 대니 보윈/ <뉴욕타임스> “입양인들, 한식 요리는 궁극적인 한인성의 회복”/ 한국은 여전히 고아 수출국


6부 K-컬처 르네상스


#28 K-푸드: 한식 황홀경

앤디 워홀과 먹방/ 앤서니 보데인과 최불암/ 올인원, 한국인의 밥상/ 절기 음식과 향토 음식/ 뉴욕 K-푸드의 선구자: 한가위/ 세계로 간 한국 사찰음식과 정관 스님/ 코리안 프라이드치킨 열풍/ 조선시대 조리서와 ‘며느리에게 주는 요리책’/ 맛에 관한 한국어 400여 가지/ 미슐랭 스카이의 별을 따고 있는 한식당들


#29 K-아트: 단색화 르네상스

고려청자의 나라에서 단색화의 한국으로/ K-아트, 미국에 이는 단색화 열풍/ 단색화: 기원에서 재발견까지/ 1970년대: 왜 단색화였나?/ 오방색, 백의민족과 단색화/ 컬러-자유의 팔레트/ 한국 미술사와 단색화 연구서 봇물/ 단색화 미술 장르 공인/ 미국 주류 미술관 K-아트 특별전 열풍/ K-아트: 서울, ‘세계 미술 메카’로 부상 중


#30 백의민족에서 글로벌 패셔니스타로

한류 스타들, 럭셔리 브랜드 홍보대사에 임명/ FACON/ KCON: K-드라마, K-팝과 K-패션의 시너지 효과/ K-패션: 뉴욕-런던-밀라노-파리로 가다/ 동대문: 변방에서 ‘패션의 메카’로/ 패스트 패션: 포에버 21의 신화/ 왜 K-패션인가? 유행 민감, 세련미, 개성미/ 토니상 2회, 에미상 1회 수상 의상디자이너 윌라 김/ ‘코리안 기모노’에서 ‘한푸(漢服)’까지


#31 K-뷰티: 한국은 어떻게 화장품 최강국이 되었나?

화장품 수출 세계 3위: K-뷰티/ 글로벌 화장품 기업 K-뷰티 인수 행렬/ 한인 2세와 외국인들, 한국산 브랜드 사업 열풍/ 조선 여성 물광 피부, K-뷰티의 원조/ 한국 미인과 프랑스 미인/ 한국산 화장품 열풍의 이유/ K-뷰티 돌풍의 주역 사총사 히트 메이커/ 한국인은 새 프랑스인


#32 K-사우나: 찜질방, ‘스파의 디즈니랜드’

핀란드 사우나에서 한국 찜질방까지/ 한국의 목욕 문화/ 미국 유명인사들 찜질방에 매료되다/ 미국 언론 찜질방 대서특필


#33 K-방역: 기생충, 킹덤과 코로나 팬데믹

우리는 봉준호의 디스토피아에 살고 있다 _<뉴욕타임스>/ 「킹덤」은 오늘 코로나 팬데믹의 악몽 같다 _<뉴욕매거진>/ 「킹덤」은 전염병에 반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세계 언론 K-방역 성공 찬사: 개방성, 투명성, 신속한 대응/ 한국인의 취미는 국난 극복/ 2020 ‘타임 100’ 봉준호와 정은경 선정


# 에필로그: 멋진 신세계, 한류 신드롬은 계속된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천국보다 낯선?/ 멋진 신세계/ 소셜미디어 시대의 한류/ “다 계획이 있었구나” 1990 문화발전 10개년 계획/ 백범 김구의 소원과 마틴 루터 킹의 꿈


참고한 자료

글쓴이  :  박숙희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후 한양대 대학원 연극영화과를 수료했다. <월간 영상>, <포토뮤직>, <비디오 플라자>, <시네마> 등 잡지에서 기자로 일했으며, <주간 영화소식>(영화진흥위원회 발행)에 2년간 ‘세계의 영화감독’ 시리즈를 연재했으며, <월간 스크린>에 세 감독(우디 앨런, 로만 폴란스키, 데이비드 린치) 작가론을 기고했다. 대우비디오 카피라이터, KBS-2FM ‘영화음악실’(이규원, 채시라 진행)과 MBC-TV ‘출발! 비디오 여행’(홍은철, 정은임, 이일화 진행) 작가로 일했다. 영화인과 문인 33인이 기고한 수필집 『나를 움직인 이 한편의 영화』(1990, 정민사)를 편집했으며, 도쿄국제영화제(1989, 1991)와 홍콩국제영화제(1993) 취재, 제1회 삼성단편영화제 영시네마 부문 심사위원(1995)을 지냈다.
1996년 뉴욕으로 이주한 후 Korean Press Agency와 <뉴욕중앙일보> 문화 & 레저 담당 기자를 거쳤다. <비디오 플라자>, <시네 21>, <필름 2.0>의 뉴욕통신원으로 기고했으며, 이화여대 초대 총장 김활란 박사를 회고하는 미국 내 제자들의 수필을 모은 『선생님 그리기: 우리를 움직인 스승 김활란』(1997)을 편집했다. <뉴욕타임스>의 광고 섹션 ‘Inside Korea’(2013)에 한인 화가, 배우, 뮤지션, 큐레이터, 셰프, 패션 디자이너 등의 인터뷰를 8회 기고했다. 2012년부터 뉴욕 문화정보 웹사이트 뉴욕컬처비트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