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원제 : Odpoledne křesťanství: Odvaha k proměně


저자 토마시 할리크는 영성가 안셀름 그륀과 나눈 대담집 1권을 포함해서 우리말로 번역된 네 권의 책을 통해 이미 눈 밝은 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리스도교의 오후』는 그리스도인은 물론 무신론자나 비종교인이나 성 소수자에게도 말을 걸 수 있는 보편적 그리스도를 찾아 나서는 신앙 여정을 탐색한다. 할리크는 좁은 의미의 그리스도교적 관점을 넘어서 ‘인류’의 관점에서 그리스도 신앙의 역사와 미래를 그리고 있으며, 지치고 좌절한 지금 이 시대에 자기초월적 그리스도교와 더불어 새로운 도전을 해 보자고 독자들을 초대한다.


『그리스도교의 오후』 - 보편적 그리스도를 찾아서


『그리스도교의 오후』를 지은 토마시 할리크는 공산 정권 치하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심리치료사로 일하면서 비밀리에 사제 서품을 받고 지하 교회에서 활동했던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사목자로서 활동했던 풍부한 경험은 심리학과 사회학, 철학 및 신학에 두루 밝은 저자의 깊은 안목과 어우러져 현대 사회 문화와 그리스도교에 대해 독특하면서도 보편성 있는 해석을 보여 준다.


 저자는 인생의 흐름을 하루의 흐름에 비유한 카를 융의 은유를 차용해서 책의 제목에 ‘오후’라는 단어를 넣었다. 그리스도교 역사의 시작부터 근대의 문턱까지, 곧 제도적·교의적 구조를 세워 온 기나긴 시기를 ‘오전’으로 이해하고, 이어서 이런 구조를 뒤흔든 ‘정오의 위기’가 찾아왔다고 상정하며, 오늘날 우리는 그리스도교의 ‘오후’로 넘어가는 문턱에 서 있다는 확신에서 이야기를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저자가 토로하는 과거와 현재의 교회와 신학에 대한 진단 및 뼈아픈 성찰과 통렬한 비판은 많은 경우 한국 교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저자에 따르면, “무르익은 시기, 성숙한 나이인 인생의 오후에는 인생의 오전과는 다른 더 중요한 과제가 있다. 바로 영혼의 여로, 깊은 곳으로 내려가는 길이다. 인생의 오후는 카이로스, 즉 정신적·영성적 삶이 펼쳐져 나갈 적기이며, 평생에 걸친 성숙의 과정을 완성할 기회이다.” 오후에 성숙하고 깊어지는 삶처럼, 교회도 그럴 수 있는 채비를 갖추어야 하고, 전통 형이상학과 전통적 의미의 선교가 종말을 맞은 이 시기에는 자기 비움의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 역사에서도 “잘못된 노화”가 이뤄질 위험이 있으니, 개혁의 시기를 놓치거나, 심지어 정오의 위기 이전으로 시간을 되돌리려고 한다면, 불임의 닳아빠진 그리스도교의 형태를 낳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그리스도교의 오후』는 무엇보다도 보편적 그리스도, 곧 그리스도인은 물론 무신론자나 비종교인이나 성소수자에게도 말을 걸 수 있는 보편적 그리스도에 대한 탐색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탐색에서 저자는 종교, 문화 및 사회의 변화에 대한 신학적·사회학적 해석학인 ‘카이롤로지’를 중요한 방법론으로 사용했다. 보편적 그리스도(교)를 지향하는 저자의 해석학은, 좁은 의미의 그리스도교적 관점을 넘어서 ‘인류’의 관점에서 그리스도(교)의 미래를 그리고 있다. 보편적 그리스도를 추구하는 저자의 글에서는 모두를 위한 복음적 보편성이 훌륭히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편성은 오랫동안 종교다원 사회로 존재해 왔고, 비종교인이나 무슬림, 외국인 노동자들이 늘고 있는 한국 상황에도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저자가 제시하는 보편성이 한국 그리스도인들의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한국 문화와 사회에도 분명히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묻는다. “오후의 사명은 무엇인가? 인간 개인 삶의 오후, 인류 역사의 오후, 그리스도교의 오후, 신앙의 역사에서 오후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리 시대의 수많은 위기 속에서 확연히 뒤흔들리고 있는 그 오랜 역사적 확실성의 위기, 정오의 위기에서 무엇이 사멸해야 할까? 그 오후에서 우리는 무엇으로 성숙해야 하고, 성취하여야 할 것은 무엇인가?”


 자기 초월적 그리스도교 안에서 하느님을 만날 수 있으리라는 바람을 내비치면서 저자는 종말론적 희망 속에서 자신의 글을 마무리한다. “새로운 하루는 저녁에 시작된다. 저녁 하늘에 첫 별이 뜨는 순간을 놓치지 말자.” 꼭 그리스도인이 아니어도, 어쩌면 무신론자나 비종교인에게도, 성숙한 삶을 찾고 삶의 의미를 묻는다면, 『그리스도교의 오후』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책 속에서

그리스도교가 지금까지의 수많은 형태가 초래한 위기를 극복하고, 문화적으로 크게 변화하는 이 시대의 도전에 고무적인 해답이 되고자 한다면, 지금까지의 정신적·제도적 경계를 과감히 뛰어넘어야 한다. 그리스도교의 자기 초월 시대가 열렸다(19-20쪽).


신앙의 진정성에 대한 기준을 찾고자 한다면, 인간이 자기 말로 고백하는 것에서 찾지 말고, 신앙이 자기 존재, 자기 마음에 파고들어서 변화시킨 정도에서 찾아야 한다. 우리는 세상, 자연, 사람, 삶, 죽음과 생생한 관계에서 신앙이 드러나는 방식에서 그 기준을 찾아야 한다(36쪽).


그리스도교에서 예배는 인간에 대한 봉사와 분리될 수 없으며, 하느님에 대한 지식은 세상과 인간에 대한 지식과 분리될 수 없다. 신학이 인간에 대한 봉사의 필수 요소로서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려면, 신앙의 경험, 즉 인간 삶과 사회에서 그 현존을 반드시 반영하는 맥락 신학이어야 한다. 신학은 문화와 역사적 변환의 맥락에서, 즉 인간, 문화, 사회, 역사를 다루는 여러 학문과 대화하며 신앙을 성찰해야 한다(41쪽).


삶을 관상적으로 접근하면, 인간 삶은 독백에서 대화로 변화한다. 대화에서는 인간의 자기 주장, 자연의 기술적 변환, 권력에 의한 사회 조작 그 이상의 것이 관건이다. 즉 세계와 역사에 대한 공학적 접근이 아닌 무언가가 중요하다. 침묵을 지키고, 경청하며,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진정한 답을 찾으려고 끈질기게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상을 기술적으로 조작하는 접근 방법이 관상적 접근 방법으로 수정되지 않는다면 인간 세계는 위험에 빠지게 된다(51-52쪽).


그리스도교 역사에서도 “잘못된 노화”가 이뤄질 위험이 있다. 개혁의 시기를 놓치거나, 심지어 정오의 위기 이전으로 시간을 되돌리려고 한다면, 불임의 닳아빠진 그리스도교의 형태를 낳을 수 있다. 현재의 위기를 신학과 영성의 심층적인 변화 없이 교회의 외적 개혁만으로 경솔하게 해결하려는 시도도 마찬가지로 위험하다(61쪽).


하느님을 자연과 역사를 감독하는 무감정의 전능자라고 생각한 이미지에 닥친 위기는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에게 십자가 신학을 재발견할 기회이다. 십자가에서 목숨을 바친 예수님을 통해 파토스적 사랑(정열적이고 고통받는 사랑)을 보여 주신 하느님을 찾을 기회이다(120쪽).


그리스도교의 오후는 아마도 파스카 축제일 아침이 지난 뒤 예수님이 오셨던 방식으로 찾아올 것이다. 우리는 그분의 손, 옆구리, 발에 난 상처를 만져서 알아본다. 하지만 그 상처는 변화된 상처일 것이다(138쪽).


전 세계 사람들이 같은 제품과 기술 발명품을 사용하고, 같은 영화를 보고 같은 컴퓨터 게임을 하며, 같은 화폐를 사용한다는 사실만으로 인류가 한 가족이 되지는 않는다. 인류 화합이나 그리스도인 일치의 과정은 단일화나 표준화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오히려 상호 인정과 보완, 시야의 확장, 일방성 극복을 목적으로 한다(166쪽).


사랑은 하느님의 속성 중 하나가 아니라 그분의 본질이자 그분의 고유명사이다. 하느님 이름을 말하는 것이 금지된 이유 중 하나는 사랑을 말로 속박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사랑은 오직 자기 삶으로만 표현될 수 있다. 자기 삶에 의해 입증되지 않은 말로 사랑에 대하여 말한다면, 그건 하느님 이름을 헛되이, 근거 없이, 즉 터무니없이 내뱉는 것과 같다(210쪽).


무신론은 신앙심이 깊은 그리스도인에게 유익할 수 있지만, 무신론자들에게는 위험하다. 무신론은 불과 같다. 착한 하인이 될 수 있지만, 나쁜 주인이 될 수도 있다. 신앙심이 깊은 그리스도인은 문제 있는 많은 종류의 유신론에 맞선 “무신론자”이다(261-262쪽).


역사의 변화 물결 속에서도 우리 신앙이 여전히 그리스도교적 신앙으로 남아 있으려면, 그 정체성의 표징은 케노시스, 즉 자기 비움, 자기 헌신, 자기 초월이다(297쪽).


 




  들어가는 말


1. 움직이는 신앙

2. 신비체험과 실천적 신앙

3. 시대의 표징 읽기

4. 천 년을 하루 같이

5. 종교적 그리스도교 또는 비종교적 그리스도교?

6. 정오의 어둠 

7. 신이 되돌아온다고?

8. 근대 종교의 계승자

9. 지구촌에서 하느님께 속한 보편 세계로

10. 제3의 계몽주의?

11. 그리스도교의 정체성

12. 가까이 계신 하느님, 멀리 계신 하느님

13. 영성 - 신앙의 열정

14. 비신앙인의 신앙과 희망의 창

15. 길 위의 공동체

16. 경청과 이해의 공동체

감사의 말

참고 문헌

인명 색인

글쓴이토마시 할리크Tomáš Halík

1948년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나 프라하 카를 대학에서 사회학과 철학,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산 정권하의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심리치료사로 일하면서, 1978년 동독에서 비밀리에 사제 서품을 받고 지하 교회에서 활동했다. 1989년 벨벳 혁명으로 공산 정권 붕괴 후 바츨라프 하벨 대통령의 외부 자문단으로 일했고, 체코 주교회의 총대리로 봉직했다. 1992년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교황청 비신자대화평의회(현 문화평의회)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폴란드 바르샤바 대학에서 실천신학 교수 자격증을 취득했다. 옥스퍼드 대학, 케임브리지 대학, 하버드 대학 등 세계 여러 대학에서 초빙 교수를 지냈고, 현재 프라하 카를 대학 사회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저서들은 세계 여러 나라 언어로 번역 출간되어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종교 간 대화, 저술 및 교육 활동, 영적 자유와 인권 보호 증진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 종교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템플턴 상, 2010년 로마노 과르디니 상 등 여러 저명한 상을 수상했다. 



옮긴이 : 차윤석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거친 뒤 독일 뮌헨 대학교에서 중세 문학 박사 과정을 마쳤다. 『교양으로 읽는 용선생 세계사』(1-15권)를 기획 및 집필했으며, 『분도 통사』 작업에 참여했다. 번역서로 『벼락을 맞았습니다』, 『죽음을 위한 준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