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란 무엇인가
교회론은 그리스도교 신자로서 우리 정체성의 근본 바탕을 이루는 틀이다. 교회의 근본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우리의 신학을 재구성하는 일 그리고 신학적으로 민감한 여러 가지 사안들에 대한 올바른 식별 작업 등 한국적 신학을 위한 논의의 뼈대가 되는 정확한 기준을 가질 수 없다. 이러한 까닭에 교회와 교부의 가르침 그리고 교회 전승에 대한 올바른 식견을 갖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이번에 개정되어 나온 《교회론》은 우리 모두가 교회의 품 안에서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자녀로 새롭게 태어남과 동시에 그리스도와 더불어 인격적인 관계를 맺고 영적 여정을 걷도록 초대받았다는 점을 알려 준다. 그리고 자모이신 교회는 우리의 구원과 성화를 위해 하느님께서 준비하신 모든 수단과 더불어 일생을 통해 우리를 품어 주고 천상 본향으로 인도해 준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즉,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우리 정체성이 시작된 곳도 교회요 하느님의 빛 안에서 우리 존재의 신비를 온전히 깨닫게 되는 것도 바로 교회를 통해서라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다 보면 진심으로 교회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교회에 대한 단편적인 이해를 종합·정리하고 있는 책
이 책은 스페인 교회의 대표적인 교의신학자 호세 안토니오 사예스 신부가 쓴 교의신학 서적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하여 교회의 기원은 어떠했으며, ‘사도 계승’이 무엇인지 알려 준다. 또한 ‘그리스도의 몸’, ‘하느님의 백성’, ‘그리스도의 성사’, ‘친교’와 같은 교회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인 묘사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상세히 설명해 준다. 이 밖에도 역사 안에서 교계 제도를 통해 드러나는 가시적인 교회는 어떤 구조를 가지며, 그 교회의 사명은 무엇이고, 타종교와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지, 그리고 교회와 세속 권력과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말해 준다.
한마디로, 이 책은 그간 여기저기 산재해 있던 교회에 대한 단편적인 이해들을 교회 전승과 교도권 그리고 현대 신학자들의 심도 깊은 견해들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종합, 정리하고 있다. 그래서 독자들이 그동안 조각조각 수집해서 형성한 주관적인 교회관을 부수고 교회의 신적 기원, 구원 역사 안에서 교회가 갖는 의미, 교회가 교회 자신에 대해 갖는 자의식과 같은 교회의 가장 근본적인 측면들을 올바로 바라보도록 이끌어 준다.
책 속으로
오직 신앙의 눈으로 교회를 바라볼 때에만 우리는 교회의 진면목(眞面目) 그리고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심오한 실재를 발견할 수 있다. 그리스도의 신비 자체인 교회는 신적인 동시에 인간적으로서, 그 안에는 교회로 하여금 인간적이면서도 인간과 가까이 있는 실재임을 포기하지 않게 하면서 여전히 교회 본연의 사명에 충실하도록 유지시켜주는 성령이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교회는 시대의 한가운데 존재하며 생기를 불어넣어주시는 성령의 힘과 더불어 자신의 기원에 끊임없이 충실하다. 교회는 보편적이며 로마교회와의 친교 가운데 있는 각 개별 교회 안에서 충만하게 실현된다. 또한 교회는 보편적이고 공번되며 동시에 지역의 여러 한계들과 더불어 연대하고 있다. 이는 참으로 교회의 신비가 아닐 수 없다.
_11-12p 저자 서문 중에서
인류를 위한 구원의 방주인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이미 구약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준비되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하느님의 선택과 계약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출발점은 아브라함에 대한 선택과 부르심 그리고 계약이다. 아브라함을 향한 하느님의 부르심은 또 다른 개입으로 확장되었다. 하느님은 계약과 더불어 그의 후손을 선택된 당신 백성으로 삼으셨다. 이는 모세를 통해 이루어진 이스라엘 백성의 이집트에서의 탈출과 시나이 계약을 통해 이루어졌다. 하느님은 계약과 더불어 당신이 선택한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을 존재하게 하셨으며, 동시에 그들이 지켜야 할 생명의 규범으로서 율법을 선사하셨다. 이러한 율법은 공동체적인 차원을 내포한다.
_65p 구약에서부터 준비된 교회 중에서
그리스도에 의해 설립된 교회는 역사를 통해 발전해갔다. 이 과정에서 교회는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는 가운데 주님께서 자신에게 맡겨준 메시지와 사명을 망각하지 않는 가운데 이천년을 이어오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했던 핵심적인 요소는 ‘사도 계승’이었다. 주님으로부터 그분의 사명에 참여하도록 부름받았던 12사도들은 새로운 하느님 백성, 즉 교회의 핵심 기둥들이다. 이들은 자신의 사명을 이어갈 후계자들을 선발했으며, 그 후계자들 역시 다음 세대에 이를 이어갈 후계자들을 선발했다.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으며 종말에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지속될 것이다.
_171p 사도 계승 중에서
참된 교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기준으로 교회가 지녀야 할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교회는 하나이다. 그리스도께서는 하나의 교회를 창설하셨다. 성령께서는 친교와 일치의 원리로서 각 지역 교회가 로마교회와 일치하도록 작용하시며 다양한 카리스마와 선물들을 신자들과 개별 교회에 허락하는 가운데 합당한 다양성도 이루어주신다. 이러한 일치는 ‘성찬례’를 통해 탄생하며 로마교회와 친교를 유지하는 각 개별 교회 안에 있다.
_309p 교회의 특징들 중에서
교계 구조는 ‘거룩한 권한’으로서 말씀의 직무와 성사 생활 그리고 생활의 지도를 통해 공동체를 위해 봉사하도록 신비체의 머리인 그리스도의 인격을 대리하는 가운데 공동체 앞에 세워진 이들에게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전해 오는 권한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가르치고 성화하며 통치하는 삼중 직무를 통해 구현되며, 일정하게 결정된 사람들에게 주어진다. 그들이 바로 사도들과 그 계승자들이다. 그 계승자들은 공동체에 대한 봉사를 위해 이 직무들을 성품성사를 통해 그리스도로부터 받았다.
_349p 교계 제도의 구조 중에서
교회는 자신의 설립자인 그리스도로부터 사명을 위임받았다. 교회의 사명은 본질적으로 그리스도의 구원 업적을 이 세상에 영속시키는 데 토대를 두고 있으며, 성령의 자극 아래 이러한 사명을 실현할 수 있는 내적인 힘이 자라나게 된다. 교회의 사명은 하느님 나라를 확장하는 데 있다. 이 왕국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의 부성(父性)이 선물로 주어지는 것을 내포한다. 또한, 이 왕국은 죄와 악마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방은 또한 그 귀결로 궁극적으로는 정치적-사회적 질서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죄로부터 유래하는 불의로부터의 해방도 내포한다.
_519p 교회의 사명 중에서
성모님은 교회의 어머니이면서 이 교회의 구성원이시다. 또한, 믿음 안에서 우리의 자매가 되신다. 그분은 교회 안에서 이미 완덕에 이른 분이다. 그래서 교회는 성모님 안에서 자신이 도달해야 할 모습을 보며 그 뒤를 따른다. 하느님은 성모님이라는 모델에 따라 교회를 만드셨다.
_569p 마리아와 교회 중에서
목차
저자 서문 - 11
약어 표시 - 18
제1부 교회의 기원 - 23
제1장 교회와 삼위일체 - 29
Ⅰ. 교회의 신비 - 35
Ⅱ.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있어서 교회와 삼위일체 하느님 - 42
1. 교회와 성부 - 42
2. 성자의 사명 - 48
3. 교회의 성화자(聖化者)이신 성령 - 52
Ⅲ. 결론 - 62
제2장 구약에서부터 준비된 교회 - 67
Ⅰ. 이스라엘 백성의 탄생 - 67
Ⅱ. 계약의 백성 - 73
1. 계약과 율법 - 77
Ⅲ. 메시아적 공동체 - 84
1. 왕적 메시아니즘 - 84
2. 예언자적 메시아니즘 - 85
3. 사제적 메시아니즘 - 86
Ⅳ. 아벨로부터 이어오는 교회 - 87
제3장 예수와 교회 - 99
Ⅰ. 예수는 교회를 염두에 두었는가? - 100
1. 초대 교회 - 103
2. 그리스도와 재림에 대한 선포 - 106
Ⅱ. 하느님 나라와 공동체 - 109
Ⅲ. ‘열둘(dodeka)’의 설립 - 117
Ⅳ. 베드로의 직무 - 131
1. 초대 공동체 안에서 베드로의 사명 - 131
2. 수위권에 대한 약속 - 136
2.1. 삽입 이론 - 138 | 2.2. 마태오복음 16장 17-19절과 초기 공동체 - 140 |
2.3. 수위권의 양도 - 148
Ⅴ. 성찬례의 제정 - 153
Ⅵ. 교회와 그리스도의 십자가 - 158
Ⅶ. 성령강림 - 162
제4장 사도 계승 - 173
Ⅰ. 사목 서간들 - 174
1. 티모테오와 티토의 계승 - 177
Ⅱ. 전승의 증언 - 180
1. 클레멘스 교황의 증언 - 180
2.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 182
3. 개별 교회들 - 184
4. 영지주의의 위기 - 187
5. 정경과 부활절 날짜의 확정 - 189
6. 히폴리토의 증언 - 190
7. 치프리아노의 갈등 - 192
8. 4세기와 5세기에 있어서 교황권 - 194
9. 에페소 공의회 - 197
10. 레오 대교황 - 198
11. 성 아우구스티노로부터 시작해서 - 200
Ⅲ. 교회적인 선택? - 202
1. 교회적인 모델들에 대한 식별 - 206
제2부 교회에 대한 신학적인 묘사와 교회의 구조 - 213
제1장 교회에 대한 신학적 묘사 - 219
Ⅰ. 교회의 다양한 모습들 - 221
Ⅱ.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 224
1. 성 바오로의 가르침 - 225
2. 중세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몸 - 232
3. 회칙 Mystici Corporis - 236
4. 제2차 바티칸 공의회 - 237
Ⅲ. 하느님 백성 - 240
1. Lumen Gentium에서 - 243
1.1. 사제적인 백성 - 246 | 1.2. 하느님 백성에 있어서 신앙의 의미 - 254
2. 교회의 구성원들 - 257
3. 이미지가 갖는 한계들 - 261
Ⅳ. 그리스도의 성사 - 264
1. 약간의 역사 - 265
1.1. 성 아우구스티노에서부터 중세로 - 265 | 1.2. 후스에서 루터까지 - 268 |
1.3. 프로테스탄트 개혁 - 270
2. 신학적 성찰 - 272
Ⅴ. 친교로서의 교회 - 283
1. 개념의 발전 - 286
2. 개별 교회와 친교 - 290
3. 교회적인 친교, 분리된 교회와의 친교는? - 296
3.1. .교회 헌장. 8항의 편집에 대한 역사적인 기억들 - 297 |
3.2. 상이한 해석들 - 301 | 3.3. 교도권의 개입 - 302 | 3.4. 제안에 대한 방식 - 303
제2장 교회의 특징들 - 311
Ⅰ. 교회는 하나이다 - 315
1. 그리스도의 의도 - 315
2. 성취된 하나 됨인가? - 322
Ⅱ. 교회는 거룩하다 - 326
Ⅲ. 교회는 공번되다 - 333
Ⅳ. 교회는 사도적이다 - 340
제3장 교계 제도의 구조 - 351
Ⅰ. 성사성과 주교직 - 356
Ⅱ. 성사성과 합의성 - 364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 369
Ⅲ. 교회의 최고 목자인 교황 - 375
1. 교황권의 발전에 관한 역사적인 기억들 - 376
1.1. 동방교회와의 결별 - 376 | 1.2. 교황권에 대한 중세의 발전 - 380 |
1.3. 공의회 우위설에 이르기까지 - 386
2. 제1차 바티칸 공의회 - 393
3.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에 대한 요약 - 396
Ⅳ. 교황과 에큐메니즘 - 398
Ⅴ. 세 가지 직무 - 404
1. 성화하는 직무 - 405
2. 통치하는 직무 - 406
3. 가르치는 직무 - 408
3.1. 교도권의 주체들 - 410 | 3.2. 무류성의 범위와 한계들 - 420 |
3.3. 교도권의 대상 - 425
Ⅵ. 그 밖의 다른 직무들 - 428
1. 사제 - 428
1.1. 사제란 누구인가? - 428 | 1.2. 사제의 직무들 - 436 |
1.3. 사제들과 그 밖의 사람들과의 관계 - 439
2. 부제 - 441
제4장 평신도 - 449
Ⅰ. 평신도는 누구인가? - 449
Ⅱ. 재속인들의 사명 - 457
Ⅲ. 교계 제도와의 관계 - 474
Ⅳ. 사제들의 직무 안에서 신자들의 협력 - 476
1. 현실적인 문제 - 476
2. 로마의 대답 - 481
Ⅴ. 결론 - 486
제5장 수도자 - 491
Ⅰ. 수도 생활의 본질 - 494
Ⅱ. 봉헌된 이들의 사명 - 509
제3부 교회의 사명 - 515
제1장 교회의 사명 - 521
Ⅰ. 하느님 나라 - 525
Ⅱ. 하느님 나라와 사회정의 - 529
Ⅲ. 구원을 위한 교회의 필요성 - 539
Ⅳ. 다른 종교들은 구원적인가? - 547
1. 여러 종교들에 대한 상이한 입장들 - 549
2. 카를 라너의 익명의 그리스도인 이론 - 551
Ⅴ. 교회의 종말론적 차원 - 561
제2장 마리아와 교회 - 571
Ⅰ. 시온의 딸 - 572
Ⅱ. 교회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 574
Ⅲ. 교회의 모델이신 마리아 - 578
제3장 교회와 세속 권력 - 585
Ⅰ. 교회와 세속 권력에 대한 역사적인 기억들 - 586
1. 신정(神政) 개념: 그레고리오 7세에서 보니파시오 8세까지 - 586
1.1. 그레고리오 7세 - 589 | 1.2. 인노첸시오 3세 - 590 | 1.3. 보니파시오 8세 - 593
2. 권력들에 대한 구별 - 595
2.1. 성 토마스 아퀴나스 - 595 | 2.2. 파리의 요한 - 597
3. 계몽주의 - 600
4. 레오 13세의 가르침 - 602
5. 비오 12세에서 .사목 헌장.까지 - 609
5.1. 회칙 .지상의 평화. - 611 | 5.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 614
Ⅱ. 신학적인 성찰 - 620
1. 본성적인 권리와 인간 인격 - 621
2. 그리스도와 인간 인격 - 626
2.1. 은총의 치유 작용 - 629
Ⅲ. 결론 - 634
인명 색인 - 642
용어 색인 - 649
역자 후기 - 664
미주 - 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