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한 그루 나무처럼 하늘을 우러르며, 시인은 기도한다


세계의 모순과 삶의 역설과의 소통 내지 대화를 바탕으로 한 ‘생성론적 사유’를 시적 화두로 삼아온 임동확 시인의 산문집 『시는 기도다』가 [푸른사상 산문선 48]로 출간되었다. 저자는 이 산문집에서 시와 예술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탐색, 비평 작업을 펼치며 인간과 세계의 본질이 무엇인지 탐구하고 이 시대의 위기와 불안을 극복하고자 한다.

목차

작가의 말


제1부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는 이유


시가 터져 나오는 자리 /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는 이유 / 근원상실 시대와 자체 발광(發光, 發狂)으로서 시쓰기 / ‘시중인(時中人)’과 세계의 촌부 / ‘내용 없는 아름다움’과 이념 지우기 / 말들의 시간성과 구천동 시론 / ‘이만하면’과 ‘괜찮다’ 사이 / 시인 추방론과 절대 공동체 / 역사적 진리와 개체적 진실 사이 / 비극은 어떻게 예술이 되는가?


제2부 태초에 우연이 있었다


『매장시편』이 나올 무렵 / 풀은 더러 바람에 움직이지 않는 놈조차 있다 / 우연의 순간과 사랑의 변주곡 / 수정처럼 맑은 오월, 부줏머리 갯가에 숭어가 뛸 때 / 다함 없는 비밀과 불가해한 미지의 세계로 / 유리잔이 깨지는 순간과 ‘시적인 것’ / 고요는 배고픈 멧돼지처럼 / 죽음과 폐허의 가로지르기 / 수동태의 시학 / 늙은 원시인의 부싯돌 소리가 / 복면을 하자, 문득 기적처럼 깨어나도록


제3부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신화의 힘과 시인의 길 / 소년 뱃사공과 생명신화의 창조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 미완의 완성지 운주사의 새벽 / 땅끝, 또 다른 시작의 여정 / 즐겨라, 오 찬란한 슬픔의 봄을 / ‘억압된 것들의 귀환’과 귀향 의지 / 광기의 시대와 절도의 정념 / 현실주의적 수묵화의 길 / 생성의 세계와 우연의 향연


제4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보이지 않는 것들이 이 세상을 움직여간다 / 시는 여론이 아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 무등의 아침 햇살을 보며 / 자발적 가난과 예술가의 길 / ‘도토리 키 재기’와 왕따 사회 / 태극기 단상(斷想) / 나는 불토릭이다 / 5월이 온다

글쓴이 :  임동확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태어나 대학과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다. 1987년 시집 『매장시편』을 펴낸 이래 시와 산문, 비평 분야에서 활동해왔다. 그간 시집 『살아 있는 날들의 비망록』 『운주사 가는 길』 『벽을 문으로』 『처음 사랑을 느꼈다』 『나는 오래전에도 여기 있었다』 『태초에 사랑이 있었다』 『길은 한사코 길을 그리워한다』 『누군가 간절히 나를 부를 때』, 시론집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운 이유』, 시 해설집 『우린 모두 시인으로 태어났다』, 산문집 『들키고 싶은 비밀』, 번역시집 『어느 침묵하는 영혼의 책』, 시화집 『내 애인은 왼손잡이』 등을 펴낸 바 있다.
청년기에 지울 수 없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겪으면서 ‘시’를 구원의 동반자로 삼아 간난신고(艱難辛苦)의 한 세상을 견뎌왔다. 특히 그 과정에서 김수영과 김지하 시세계와의 만남을 가장 큰 축복이자 다행으로 여기고 있다. 지방지 기자를 거쳐 한신대학교 문예창작과에서 시를 가르쳐왔으며, 세계의 모순과 삶의 역설과의 소통 내지 대화를 바탕으로 한 ‘생성 미학’의 정립을 최종 목표와 이상으로 삼고 이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