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세계사에 빛나는 동·서양의 열다섯 도시 이야기, 도시문명의 만화경(萬華鏡)

“빈을 현대적 도시로 탈바꿈시키고 빈미술사박물관을 건립했다는 것이다. 이에 힘입어 빈은 세계적인 대도시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2022년 10월 25일 시작해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는 국립중앙박물관의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의 전시 안내문에 소개된 프란츠 요제프 1세 이야기이다. 전시는 5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지막 5부의 주제가 프란츠 1세 시대를 조명하는 ‘걸작을 집대성하다, 빈미술사박물관’이다.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초상화와 다양한 소장품을 볼 수 있다. 전시는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업적 가운데 하나로 ‘링슈트라세’를 소개하며 끝을 맺는다.

링슈트라세. 구도심을 둘러싼 반지 모양의 넓은 길. 폭 최대 450미터, 길이 5.2킬로미터에 이른다. 빈은 유럽의 거의 마지막 성곽도시였다. 성 안팎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성을 둘러싼 녹지의 방어 기능이 사라지자 빈을 근대도시로 바꾸고 싶어 하던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반대를 물리치고 성을 허물고 링슈타라세 개발을 선언한다. 빈의 명소로 꼽히는 슈테판 대성당, 호프부르크 궁전, 빈 대학교, 빈 시청사, 국회의사당, 자연사박물관, 미술사박물관, 국립오페라극장 등이 링슈트라세를 따라 자리한다.

《도시의 만화경: 도시그림, 현실과 동경을 넘나들다》는 열한번 째 이야기 “빈: 육백 년 합스부르크 제국의 수도, 그 황금시대를 그리다”에서 19세기 빈을 조감으로 상세하게 묘사한 구스타프 파이트의 ?확장된 빈의 파노라마?(1873)를 들여다본다. 수십 채의 공공·문화시설과 고급아파트가 줄지어 들어선 세기말 빈의 모습을 속속들이 볼 수 있다.


목차

머리말: 도시그림, 현실과 동경을 넘나들다


제1화 시에나 | 성모 마리아에게 바친 ‘천상의 도시’

〈좋은 정부의 도시〉, 암브로조 로렌체티, 1339년

제2화 카이펑(開封) | 중국 최고의 그림에 담긴 번성한 중세도시

〈청명상하도〉, 장택단, 12세기 초반

제3화 피렌체 | 시민정신이 만들어낸 르네상스의 성채

〈사슬지도〉, 프란체스코 로셀리, 1490년

제4화 베네치아 | 융성했던 바다의 도시, 이게 최전성기의 모습이다

<베네치아 조망 그림> 야코포 데바르바리, 1500년

제5화 암스테르담 | 오로지 시민의 삶을 위해 만든 다채색의 도시

〈암스테르담 지도〉, 발타사르 플로리스, 1625년

제6화 쑤저우(蘇州) | 천하제일의 수향(水鄕), 그 활기찬 모습이 눈앞에 펼쳐지다

〈성세자생도〉 일명 〈고소번화도〉, 서양, 1759년

제7화 이스파한 | 이 도시는 세상의 절반과도 안 바꾸겠소

〈이스파한 전경〉, 얀 안소니우스, 1657년

제8화 파리 | 근대도시로 비상하는 18세기 파리를 생생하게 그려내다

〈튀르고 지도〉, 루이 브레테즈, 1739년

제9화 로마 | 공간의 네트워크로 묘사한 영원의 도시

〈놀리 지도〉, 조반니 바티스타 놀리, 1748년

제10화 런던 | 근대의 바빌론, 대영제국 수도의 두 얼굴

〈열기구에서 본 런던〉, 존 헨리 뱅크스, 1851년

제11화 빈 | 육백 년 합스부르크 제국의 수도, 그 황금시대를 그리다

〈확장된 빈의 파노라마〉, 구스타프 파이트, 1873년

제12화 베이징(北京) | 이건 도시가 아니다. 땅 위에 새겨진 거대한 도상이다

〈건륭경성전도〉, 청나라 궁중 화원, 1750년

제13화 교토(京都) | 한쌍의 6폭 병풍에 담은 에도 시대의 교토

〈낙중낙외도〉, 이와시 마티베에, 1615년

제14화 서울 | 12폭 병풍에 담은 19세기 도성 밖 한양의 풍경

〈경기감영도〉, 작자미상, 19세기 초반

제15화 뉴욕 | 격자 틀 속에 펼쳐진 초고밀의 맨해트니즘

〈뉴욕 조감지도〉, 헤르만 볼만, 1962년


맺음말: 유전자가 살아있는 도시가 아름다운 도시다

저자 :  손세관
건축과 도시를 연구하는 학자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미국 버클리 대학(U. C. Berkeley)과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같은 공부를 했다. 1986년부터 중앙대학교에서 가르쳤고, 이제는 명예교수로 있다. 동·서양의 도시와 주거문화에 관해 나름 꾸준히 연구했다. 대학원 시절부터 했던 그런 연구의 부산물이 도시를 그린 지도와 그림에 대한 지식이며, 그게 이 책을 만들어낸 기반이 되었다. 설계 실무도 해, 은평뉴타운 같은 도시 만들기 작업에 두루 참여했고, 연구기관인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소장도 지냈다. 꾸준히 책도 펴냈다. 《도시주거 형성의 역사》(1993) 같은 역사책, 《베네치아, 동서가 공존하는 바다의 도시》(2007) 같은 도시 이야기, 20세기 주거문화를 탐구한 《집의 시대: 시대를 빛낸 집합주택》(2019). 그중 일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