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각 시대에는 ‘인간적이고 신적인’(「전례헌장」 2항) 전례가 존재했으며, 무엇보다 하느님 말씀, 신앙과 삶의 규범, 그리고 말씀을 전체적으로 전승해 온 전통에서 전례를 공부하고 그것에 관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전례 거행의 형태들에 대한 역사적이고 기원적인 연구도 시대의 흐름 속에서 전례가 겪었던 변천 과정 또는 풍요로움,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 전례에서 사용되는 성경과 기도문들은 전례와 전례 신비에 관해서 교회가 드러낸 개념을 보다 특징짓게 한다. 그래서 전례 텍스트들은 전달자인 교회를 통하여 구원의 은총에 관한 결정적인 신학적 전망인 전례 신학을 드러낸다.


 


이 모든 것은 우리가 참여하는 신비들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삶과 신앙 체험으로 이끌어야 한다. 전례는 거행과 삶을 통하여 재발견되는 실재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특성에 맞게 각 장의 배치 방식을 설명하고 이 책을 쓰면서 소개한 다른 방법론적 기준들을 언급하겠다. 첫 번째 부분(1-6장)은 전례의 기본적인 측면들을 설명하고, 이어지는 장들(7-13장)은 개별 전례 거행에 초점을 맞추어 전개했다. 14장의 주제는 전례주년인데, 그리스도교 예배의 전체 신비를 옮겨놓는 구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마지막 장인 15장은 전례 거행의 진리로부터 영적 체험의 ‘진리’로의 이행으로 초대하는 전례의 영성적 차원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이 책을 마무리한다.​

_「책 머리에」 중에서

책머리에


약어표

제1장 그리스도교 전례의 본성

제2장 전례의 역사

제3장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전례

제4장 전례 거행의 주체

제5장 전례 거행의 장소

제6장 전례 행위: 예식, 표지, 상징

제7장 그리스도교 입교 성사

제8장 성체성사의 거행

제9장 고해성사

제10장 성품성사, 혼인성사, 수도 서원

제11장 병자성사, 장례 예식

제12장 축복 예식

제13장 시간 전례(성무일도)

제14장 전례주년

제15장 전례 영성

참고문헌

역자 후기 I

역자 후기 II

글쓴이 : 마티아스 아우제 신부
1936년 스페인 타라고나에서 태어났고, 1953년 글라렛선교수도회에 입회하여 1961년 사제 서품을 받았다. 로마의 성 토마스 대학(Angelicum)에서 신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1967년 전례 전문대학원인 성 안셀모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라테란 대학교와 성 안셀모 대학에서 전례학 교수로 봉직하였고, 경신성사성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글라렛수도생활 신학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옮긴이: 장신호 주교
1998년 대구대교구에서 사제서품을 받고, 2002년 2월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 전례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 3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대구 가톨릭대학교 전례학 교수로 봉직하였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총무와 전례서 편찬을 담당했다. 2016년 주교품을 받고 대구대교구 보좌주교에 임명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교황청 경신성사성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018.년부터 주교회의 교리주교위원회 위원, 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옮긴이: 윤종식 신부
1995년 서울대교구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2004년 의정부교구 소속이 되었다. 2008년 6월 교황청립 성 안셀모대학에서 전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화정동성당 공동사목 및 대표 주임을 역임하고, 2010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정발산성당 주임으로 사목하였다. 2012년 3월부터 현재까지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에서 전례학 교수로 봉직하고 있다. 2008년 12월부터 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위원, 2010년 9월부터 의정부교구 전례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