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나에게 남아 있는 마지막 말은 무엇인가?

‘디지로그’ ‘생명자본’에 이은 그것은 ‘눈물 한 방울’이었다.”


시대의 지성 이어령이 마지막 3년간

삶을 반추하고 죽음을 독대하며 써내려간 내면의 기록


탁월한 통찰력으로 문명의 패러다임을 제시해온 시대의 지성 이어령이 남긴 마지막 육필원고가 《눈물 한 방울》로 출간되었다. 2017년 간암 판정을 받은 뒤 항암 치료를 거부한 채 집필에 몰두해온 저자는 생애 마지막 순간까지 펜을 놓지 않고 생명과 죽음을 성찰했다. 이 책은 2019년 10월부터 영면에 들기 한 달 전인 2022년 1월까지 노트에 손수 쓴 저자의 마지막 기록이다.


병상에서도 사유와 창조의 활동을 멈추지 않은 저자가 제시한 새로운 화두는 ‘눈물 한 방울’이다. 나와 남을 위해 흘리는 작은 눈물방울에서 그는 함께 사는 세상을 위한 희망의 씨앗을 보았다. 눈물만이 우리가 인간임을 증명해주고, 그 관용과 사랑의 눈물을 통해서만 대립과 분열을 극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는 큰 울림을 준다.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추억부터 가장 작아서 가장 큰 가치 ‘눈물 한 방울’까지, 세상을 놀라게 한 자유로운 사유와 창조적 영감부터 병마와 싸우며 가슴과 마음에 묻어두었던 절규까지. 생전에 공개하지 않았던 인간 이어령의 내밀한 말이 시, 산문, 평문 등 다양한 형식의 글로, 그와 어우러지는 선생의 손 그림과 함께 세상에 나왔다. 경계를 넘나드는 창조적 지식인이자 죽음 앞에 선 단독자, 마음 따뜻한 아버지이자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아들로서 저자가 품었던 무지개 같은 세계가 펼쳐진다.


사랑과 참회의 눈물이 메마른 사막에서 우리가 살고 있다. 인류는 이미 피의 논리, 땀의 논리를 가지고는 생존해갈 수 없는 시대를 맞이했다. 나와 남을 위해 흘리는 눈물은 지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힘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인간을 이해한다는 건 인간이 흘리는 눈물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그 눈물방울의 흔적을 적어 내려갔다. 구슬이 되고 수정이 되고 진주가 되는 ‘눈물 한 방울’. 피와 땀을 붙여주는 ‘눈물 한 방울’. 쓸 수 없을 때 쓰는 마지막 ‘눈물 한 방울’. _본문에서

목차
서문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글쓴이 :  이어령

1934년 충남 아산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 재학 시절 <이상론>으로 문단의 주목을 끌었고 곧 기성 문단을 비판하는 <우상의 파괴>로 데뷔한 이래 서울신문을 시작으로 한국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등의 논설위원을 맡으면서 논객으로 활약했다. 1966년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 교수로 시작해 30년 넘게 교단에 섰으며, 1988년 서울올림픽 개폐회식 행사를 총괄 기획해 ‘벽을 넘어서’라는 슬로건과 굴렁쇠 소년으로 전 세계에 한국을 각인시켰다. 1990년 초대 문화부장관으로 재임하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설립과 국립국어원 발족을 추진했다. 2021년 한국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축소지향의 일본인》 《디지로그》 《지성에서 영성으로》 《생명이 자본이다》 등 160여 권의 저작을 남겼다. 2022년 2월 영면에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