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과 희망, 은총과 축복, 고난과 아픔, 슬픔과 고뇌 속에서 240여 년 한국 천주교회가 걸어온 길!
무조건적인 호교론이나 비판론이 아닌 참신하고 균형 있는 저술, 한국 천주교회사를 편견과 오해에서 벗어나 새롭게 이해하는 한 방식!
이 책은 신진 종교사회학자 김선필 박사의 첫 책으로, 조선 후기부터 지금까지 240여 년 이어져 온 한국 천주교회사를 “기쁨과 희망의 여정”이라는 일관된 테마 속에서 한 권으로 정리한 책이다. 저자는 무조건적인 호교론 또는 비판론을 지양하고, 한국 천주교회가 고난과 위기를 극복하고 참다운 신앙 공동체로 나아가는 과정과 한국 사회의 한 주역으로 서기까지의 과정을 참신하고 독특한 관점과 방법론으로 저술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사 이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 김희중 대주교 7
추천사 | 문창우 주교 11
들어가며 13
1부 이 책을 보는 방법
1. 한국 천주교회를 바라보는 방법
가. 맹인모상과 황사영 백서 25
나. 시간과 주체: 한국 천주교회를 바라보는 두 가지 기준 31
다. 사랑이 전제되지 않은 정의는 폭력입니다 37
※ 교회사 엿보기: 정난주 마리아(1773~1838)의 생애 41
2. 천주교회의 세계관
가. 교회가 스스로를 바라보는 방법 45
1) 가르치는 교회와 배우는 교회: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전(~1965) 45
2) 함께 하는 교회: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1965~) 49
나. 교회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 52
1)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전(~1965) 52
2) 세상 속 교회를 선언하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1965~) 55
※ 사회교리 좀 더 엿보기 61
2부 빛과 어둠의 순간들, 한국 천주교회가 걸어온 길
3. 어둠 속에 빛을(1784~1886)
가. 신앙의 자발적 수용, 이 땅에 “기쁨과 희망”을 67
나. 파리외방전교회의 조선 선교 77
1) 18세기 전후 아시아 선교를 둘러싼 쟁점들 77
(1) 직접 선교방식과 문명화의 사명 77
(2) 적응주의 선교와 조상 제사 금지령 80
(3) 보호권 제도와 파리외방전교회 83
2)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의 입국과 적응 86
(1) 선교사의 조선 입국 86
(2) 선교사의 적응 90
① 선교사의 조선 인식 90
② 선교방식으로써 양반문화의 수용 95
다. 조상 제사 금지와 박해 99
라. 박해의 양상과 한국 천주교회의 대응 103
마.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위로를 준 한국 천주교회 113
4. 한국 사회의 일원이 된다는 것(1886~1907)
가. 한불조약 이후 달라진 한국 천주교회의 위상 118
나. 지역 사회와의 충돌과 적응 126
1) 교안의 발생: 신축교안을 중심으로 126
2) 신축교안 이후 한국 천주교회와 지역 사회 133
다. 자선사업과 수도자, 가난한 이들과 함께 한 한국 천주교회 136
5. 교회와 민족 사이에서(1907~1945)
가. 정교분리, 교회 보호를 위한 선택 144
나. 교민주의 선교방식 154
다. 신사참배, 제2의 중국 의례 논쟁? 159
라. 일제의 직접 통치 전략에 대응한 신의 한 수, 노기남 대주교 163
6. 혼란 속에서 길을 찾아(1945~1965)
가. 하느님의 섭리, 광복 사건 171
나. 공산주의와 천주교회 173
다. 한국 천주교회와 공산주의 정권의 충돌 176
라.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 그리고 한국전쟁 179
마. 분단국가에서 종교란? 183
바. 민족사와 한국 천주교회, 타자와 주체의 경계에서 186
사. 4·19혁명과 한국 천주교회: 외래종교의 장벽을 깨다 190
아. 민주주의와 반공주의 사이에서 진동하는 한국 천주교회 196
7. 쇄신과 도전의 시간(1965~현재)
가. 한국 천주교회의 제2차 바티칸공의회 수용 204
나. 한국 천주교회, 세상 속으로 뛰어들다 209
1) 심도직물 사건 209
2) 지학순 주교 구속 사건 213
3) 김수환 추기경과 한국 민주주의 218
4) 5·18민주화운동과 한국 천주교회의 역할 223
5) 세상을 위로하는 교회 229
다. 하느님 백성의 발견, 공동합의적 교회 쇄신을 향한 한국 천주교회의 여정 235
1) 200주년 기념 사목회의, 공동합의적 교회 쇄신을 위한 모범 사례 238
2) 공동합의적 교회 쇄신을 위한 한국 천주교회의 진통 241
3) 하느님 백성과 함께 걷는 한국 천주교회 246
3부 기쁨과 희망의 교회를 향하여
8. 21세기 한국 천주교회의 도전
가. 교회의 성장과 위기, 희망 253
1) 순교자의 피로 성장한 한국 천주교회 253
2) 교세 침체 현상 258
3) 교회 시설 운영과 공공성 262
4) 코로나19와 한국 천주교회, 명동밥집 268
나. 평신도와 함께 하는 한국 천주교회 273
다. 교회가 과거와 화해하는 방법 280
1) 천주교회의 과거사 반성 280
2) 제주교구 사례: 도민의 아픔을 자기 것으로 285
라. 한국 천주교회의 민족화해 활동 290
1) 북한교회의 재발견 290
2) 인식의 전환, 적대적 관계에서 민족화해의 대상으로 292
9. 맺음말: 기쁨과 희망, 지금 이 자리에 298
감사의 글 304
참고문헌 307
부록 | 한국 천주교회사 연표 317
색인 321
글쓴이 : 김선필
1980년에 인천에서 태어났다. 1988년에 부모님과 함께 제주도로 이주했다. 집안 대대로 내려오던 천주교 신앙을 이어받아 사제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입학했지만 결국 평신도의 삶을 선택했다. 지금은 세 명의 자녀를 둔 아빠가 되어 자녀에게 천주교 신앙을 물려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광주·수원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을 배우고, 제주도에서 사회학을 배워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 천주교회를 중심으로 종교사회학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공공성과 커먼즈(commons)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 천주교회의 현실과 새로운 희망: 종교 사회학적 관점”, “종교와 지역 사회의 공존: 20세기 전반 천주교 선교사들의 제주 문화 인식을 중심으로”, “커먼즈 관점에서 바라본 제주 지하수와 공동체 관계의 변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