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뒤따르는 데에서 새로움의 시작이 비롯된다고 하셨다. 예수님의 복음으로부터 유래하며 오늘날 역사 안에서 거룩한 성전에 대한 창조적 충실성 안에 육화되어야 하는 교회의 모습을 공동합의성이 표현한다는 점을 강조하시며 "우리에게 교계적 직무 자체를 이해하는 가장 적합한 해석을 틀을 제시한다"고 말씀하신다.

 

이 문헌의 목적과 구성은 첫째 두 장에 걸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에 일치하는 가톨릭 교회론의 전망 안에서 공동합의성의 신학적 의미를 심화해야 한다는 요구에 응답하기 위한 것이다. 제1장은 성경과 성전의 규범적 원천으로 거슬러 올라가 교회의 공동합의적 모습이 계시의 역사적 전개 과정 안에 뿌를 두고 있음을 규명하고, 그 개념을 정의하며 실천을 규정하는 기본 특징과 명확한 신학적 기준들을 밝히고, 제2장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론적 교리에 따라 공동합의성의 신학적 기초들을 제시한 다음, 선교적 사명을 받아 역사 안에서 순례하는 하느님 백성의 전망에 친교인 교회의 신비에 그 기초들을 연결시킨다.

 

이 기초위에 제3장에서는 여러 다양한 차원에서 곧 개별 교회 안에서, 어떤 지역 내 개별 교회들 사이의 친교 안에서, 그리고 보편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공동합의성의 구체적 실현에 관하고 다루고 제4장에서는 진정으로 공동합의적 교회를 체험하려는 영적 그리고 사목적 회심과 공동체적 사도적 식별을 언급하면서 교회 일치의 여정과 교회의 사회적 봉사 안에서 그것들이 어떻게 긍정적으로 반영되는지 사목적 지짐을 제시한다.

 

서론

공동합의성의 중요한 때(Kairόs)

시노드, 공의회, 공동합의성

친교, 공동합의성, 단체성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뒤따르는 데에서 새로움의 시작

문헌의 목적과 구성

제1장 성경과 성전, 그리고 역사 안에서 공동합의성

1.1. 성경의 가르침

1.2. 제일천년기 교부들과 성전의 증언

1.3. 제이천년기 공동합의적 실천의 발전

제2장 공동합의성의 신학을 향하여

2.1. 공동합의성의 신학적 기초

2.2. 순례하며 선교하는 하느님 백성의 공동합의 여정

2.3. 친교의 교회론의 표현인 공동합의성

2.4. 보편적 친교의 역동성 안에 있는 공동합의성

2.5. 사도적 친교의 전승(traditio) 안의 공동합의성

2.6. 교회의 합의체적 삶 안에서 참여와 권위 

제 3장 공동합의성의 실현: 공동합의적 사건들의 주체, 구조, 절차

3.1. 하느님 백성의 공동합의적 소명

3.2. 개별 교회 안의 공동합의성

 3.2.1. 교구 시노드와 동방 교회의 교구 회의

 3.2.2.개별 교회 안에서 공동합의적 삶에 봉사하는 다른 구조들

 3.2.3. 본당 생활 안에서 공동합의성

3.3. 지역 내 개별 교회들 사이의 공동합의성

 3.3.1. 개별 공의회

 3.3.2. 주교회의

 3.3.3. 동방 가톨릭 교회들의 총대주교들

 3.3.4. 주교회의와 동방 교회 총대주교구들의 지역 평의회

3.4. 보편 교회 안의 공동합의성

 3.4.1. 보편 공의회

 3.4.2. 세계주교대의원회의(주교 시노드)

 3.4.3. 수위권의 공동합의적 행사를 위한 구조들

제4장 쇄신된 공동합의성을 향한 회심

4.1. 교회의 삶과 사명의 공동합의적 쇄신을 위하여

4.2. 친교의 영성과 공동합의적 삶의 양성

4.3. 공동체적 식별을 위한 경청과 대화

4.4. 공동합의성과 교회 일치의 여정

4.5. 공동합의성과 사회적 봉사

결론

성령의 담대함(parrhesia) 안에서 함께 걸어가기

지은이: 교황청 국제신학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