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개최된 지 50년이 지난 지금, 교회는 세계화와 다원주의, 신자유주의적 경제 구조, 인터넷 등 과학기술의 발달이 초래하는 새로운 생활 형태 등 새로운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기존 교회 생활 방식의 변화를 촉구하고 때로는 지난 2000년 동안 지속되어 온 교회의 미래에 대해 의문을 갖게 한다.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 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고 공의회 정신의 구현을 위해 노력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공의회는 성경과 교부들의 가르침 등 교회의 전통을 근간으로 현대 세계 안에서의 교회 정체성을 정립했고, 오늘날 교회가 미래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나침반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인 "일치의 재건"에서 저자 베른트 요헨 힐베라트는 그리스도교 일치 운동이 경쟁의 장이 아닌 배움의 장이며, 이 배움의 장을 통해 우리 그리스도인 모두가 하느님께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인 "우리 시대"는 공의회의 가장 짧은 문헌이지만, 세계화 및 종교 다원화를 겪는 현대 가톨릭교회 안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커다란 현실성을 얻고 있다. 이 책은 교회의 입장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웃 종교 신자들과의 만남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인류의 빛,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종교 자유에 관한 선언 인간 존엄성, 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 헌장 기쁨과 희망에 이어 출간된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 일치의 재건/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우리 선언은 신학 주석으로서, 중요한 공의회의 진술을 설명하고, 다수 측과 소수 측 사이에 벌어진 논쟁의 주요 쟁점을 희석하지 않으면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 전체를 집약적으로 보여 준다.
일치의 재건
시작하기 전에
한국어판 서문
서 문
공의회의 경과
약어표 및 일러두기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 <일치의 재건>
1. 도입
1.1. 기대의 지평: “세계” 공의회
1.1.1. 공의회의 소집 공고와 그에 대한 기대
1.1.2. 로마 가톨릭교회와 세계 교회 운동
1.1.3. 일치사무국의 의의
1.1.4. 참관인들의 역할
1.1.5. 일치 운동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의회의 목표
1.2. 문헌 발생사
1.2.1. 의안 「데 에클레시에 우니타테 “웃 옴네스 우눔 신트”」
1.2.2. 1963년 4월 첫 번째 의안 「데 에쿠메니스모」
1.2.3. 두 번째 의안과 최종 문안의 작성
2 주석
2.1. 문학 유형과 교령의 구속력
2.2. 교령의 목표: 일치의 촉진(서론: 제1항)
2.3. 일치 운동의 가톨릭 원칙(제1장: 제2-4항)
2.4. 일치 운동의 실천(제2장: 제5-12항)
2.5. 로마 사도좌에서 갈라진 교회와 교회 공동체
(제3장: 제13-23항)
2.5.1. 분열의 두 가지 범주(제13항)
2.5.2. 제1절: 동방 교회들에 대한 특별 고찰(제14-18항)
2.5.3. 제2절: 서방의 갈라진 교회와 교회 공동체(제19-23항)
2.5.4. 결론: 신앙의 신뢰 안에서(제24항)
3 평가와 영향
3.1. 복귀의 일치는 끝났는가
3.2. 계속되는 학습 과정
3.2.1. 교회 지도층의 차원
3.2.2. 신학적 대화의 차원
3.2.3. 교회 현장
3.3. 해결되지 않은 문제
참고 문헌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우리 시대>
1 도입
1.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이루어진
주제의 신학적 발전
1.1.1.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종교
1.1.2. 교회 교도권의 종교에 대한 비평 및 용어
1.2. 공의회 이전 각 세계 종교와의 관계, 신학적 평가, 가르침
1.2.1. 아시아의 전통: 힌두교와 불교
1.2.2. 이슬람에 대한 판단:
그리스도교의 이단인가 새로운 종교인가
1.2.3. “신의 없는 유다인”: 교회와 유다교
1.3. 학문의 대상인 종교:
종교학의 의의와 그리스도교 종교신학의 출발
1.3.1. 선교의 적응이론 안에 있는 종교학: 토마스 옴
1.3.2. 그리스도교 종교신학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
1.3.3. 비그리스도 종교와의 관계를 개척한 선구자
1.4. 본문 발생사
1.4.1. 요한 23세의 계획
1.4.2. 계획의 기틀을 마련한 여러 건의서
1.4.3. 1963년까지 본문의 역사
1.4.4. 1963년 첫 번째 의안
1.4.5. 1964년 두 번째 의안 및 세 번째 의안
2 주석
2.1. 제목: “교회의 관계”
2.2. 제1항
2.3. 제2항
2.4. 제3항
2.5. 제4항
2.6. 제5항
3 평가와 영향사
3.1. 공의회 본문의 평가
3.1.1. 「우리 시대」의 “신학적 문법”
3.1.2. 신학적 평가
3.2. 영향사
3.2.1. 제도적 발전 및 교도 직무를 통한 교의의 발전
3.2.2. 신학적 발전
3.2.3. 전망
참고 문헌
옮긴이의 글
글쓴이 : 베른트 요헨 힐베라트
1948 독일 빙엔 출생. 1977 독일 마인츠 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84년 교수 자격을 취득했다. 1985~1992년 독일 마인츠 대학교 일치 운동 및 기초신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92~2013년까지 독일 튀빙엔 대학교 교의사 교수로 재직했다.
글쓴이 : 로만 지벤록
1975년 독일 멩엔 출생. 1993년 독일 튀빙엔 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2006년까지 오스트리아 인스부룩 대학교 기초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옮긴이 : 신정훈 신부
1971년 서울 출생
2001년 사제 서품
2009년 독일 뮌헨 대학교 신학박사
2011년~현재 가톨릭대학교 교의신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