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신철논형"이라.

"인생의 고민거리를 철학적으로 묻고 신학적으로 답하면서,

치우침 없이 논한다?"


철학은 물음으로 시작되는 학문이다. 인간은 물음으로써 철학적 존재가 된다. 그러나 철학에는 약점이 있으니 바로 인간의 이해이다. 철학으로는 인간의 존재 그 자체를 설명할 수 없다. 인간이 창조주와의 관계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되는 불안한 피존재임을 깨닫는 순간 신학이 시작된다. 그래서 이 책은 철학이 묻고 신학이 대답하는 철문신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학은 인간의 감각을 소홀히 하기 쉽고 철학은 인간의 본질을 소홀히 하기 쉽다. 철학은 묻기만 하고 대답을 찾으려 하지 않고 신학은 묻기도 전에 대답하려 덤벼든다.


철학이 묻고 신학이 답할 때 인간의 제대로 된 답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이 신철논형이다. 형평성을 지닌 중용적 논의 속에서 진리가 드러난다.


이제는 신철이 서로 융합하고 통섭해야 할 시기이다. 논형은 학문의 상생적 관점이다. 신철논형은 바로 신학과 철학을 균형있게 논하자는 의미에서 지은 이름이다.





추천사

서문에 대신하여


제1부 신철논형

1. 천

마음이 가난하다는 것은? : 구결

왜 점을 보고 싶어 할까? : 천지불인

하느님의 이름을 헛되이 부르지 마라 : 도가명비상도

케 세라 세라 : 무위자연

종교의 여신성 : 곡신불사


2. 지

말을 다하지 않는 멋 : 함축미

비슷한데 아닌 것은 참 허망한 일이다 : 사이비

유배의 정신 : 막견호은

모든 것에는 다 때가 있다는데 : 줄탁동기

제주 오름의 인문학 : 미시적 가치


3. 인

부부는 조화와 다름의 사이 : 화이부동

- 어느 혼인 갱신식에서 -

미로의 영성 : 불혹

미래 인간 문명이 나아갈 길 : 수승화강

신앙의 우경화와 좌경화 : 성과 속의 과유불급

영혼의 막힌 곳을 뚫어라 : 통즉불통


제2부 구결의 영성

'사랑의 송가' 뒤집어 읽기

인공지는 시대에 영성을 말하다

자비는 내리사랑이다

적게 용서받은 사람은 적게 사랑한다

인생에는 두 개의 산이 있다

노화와 죽음에 대한 묵상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한국 사회에 전하는 메시지

사람은 누구나 보고 싶은 대로만 보고 듣고 싶은 대로만 듣는다

인생의 무거움과 가벼움에 대하여

이 시대에 가나안은 어디에 있는가

개와 합의 변증법적 원리

아브라함과 파레토

이름을 불러준다는 것

죽순과 대나무

지금 눈을 뜨면 먼저 무엇을 복 싶은가? 카르페 디엠

평화, 시간과 공간의 여유




글쓴이 : 김병수

신학석사(1988,가톨릭대)

비교종교학박사(2000년,대만 푸렌대학)

중국문학석사(2006년,상해 화동사범대)

현재 제주도에서 중국사제들을 위한 주문모 피정센터(한국천주교주교단 주관) 책임, 국내 각 교구와 수도회에서 피정 지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