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무교는 그리스도교가 이 땅에 들어오기 오래 전부터 한국인의 문화와 심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존속한 종교이다. 『한국 종교사상사』는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핵심인 신관, 즉 '하느님신앙'에 초점을 맞춰 그 내용을 전개한다.

1부는 우리나라 신화와 고대 제천의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종교사상의 원형을 밝히고, 2부는 하느님사상이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불교와 도교, 유교와 만나는 과정에서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며, 3부는 조선말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이루어진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만남을 서술한다.

무교와 그리스도교, 이 두 종교사상은 표면적으로 상호배타적이지만, 서로 깊은 동질적 요소들을 지닌다. 한국의 무교는 이 땅에 그리스도교가 받아들여지는 데 아주 중요한 토대 역할을 했고, 지금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직까지 한국의 종교사상사를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목시켜 제시한 연구서나 학술적 서적이 하나도 없다. 또한 무교와 그리스도교를 연계시켜 한국의 종교사상사 전체의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도 아직까지 찾아볼 수 없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하나의 계기를 마련해 주리라 믿는다.

 

책머리에
(부록) 3편의 신화
1. 단군신화
2. 주몽신화
3. 혁거세신화


제1부 우리 민족 고유 종교사상의 원형
제1부 - 도입


제1장 우리 민족 고유 종교사상의 원형 : 신화
머리말
1. 고대신화 속의 원형구조
2. 고대신화 속의 원형요소와 그리스도교 신앙
마무리말


제2장 우리 민족 고유 종교사상의 원형 : 제의
머리말
1. 고대 제천의식 속에 숨겨진 의미 : 신화
2. 고대 제천의식 속의 원형구조
마무리말


제2부 민족 고유 하느님 신앙의 계승과 전개
제2부 - 도입
제1장 삼국시대의 제천의식과 하느님신앙
제2장 고려시대의 종교의례와 하느님신앙
제3장 조선시대의 종교의식과 하느님신앙


제3부 민족 고유 종교사상(무교)와 그리스도교
제3부 - 도입
제1장 한국 무교가 천주교 수용에 미친 영향
제2장 한국 무교가 개신교 수용에 미친 영향

 

참고문헌

저자 소개

 

 

글쓴이 : 이대근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