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해외 선교 사제들을 만나다.
이 책은 일제 강점기 때 중국으로 파견되어 선교하다 순교한 ‘한국 천주교회의 첫 번째 해외 선교사’인 김선영 요셉,임복만 바오로,양세환 비오 신부의 삶을 돌아보기 위해 10년 동안 중국 둥베이(東北三省), 즉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전역과 베이징 구석구석을 누비며 발로 쓴 선교 답사기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 중국 공산당은 모든 종교를 철저하게 국가의 감독과 감시 아래 두어, 중화인민공화국 내의 모든 종교는 공산당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포교 활동을 할 수 있다. 가톨릭교회의 모든 신앙 행위도 공산당 정부가 승인한 중국 천주교 애국회 소속 성당에서만 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국가의 지시에 불응하는 성직자들은 체포되어 장기간 감금당하거나 고문과 순교 등의 엄청난 탄압을 받았다. 외국인 선교사들에게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자들이 보낸 스파이’라는 혐의까지 씌웠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도, 세 사제는 자신들에게 맡겨진 양 떼를 버리고 떠날 수 없다는 결연한 의지로 그곳에 머물렀고, 모두 감옥에 갇혀 모진 고생을 하다가 돌아가셨다.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외 선교 사제들이 신앙의 씨앗을 어떻게 뿌렸고 그 씨앗이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여러 사람의 증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양 떼를 버리고 떠날 수 없습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신자들을 끝까지 돌보려던 세 신부! 이들이 당한 고초는 이루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 벽 양쪽에 못이 박혀 있어 돌아눕지도 못하고 기어서 간신히 대소변을 보는 정도의 감방에 갇히기도 했다. 옥살이에 이어 하게 된 강제 노동 중에도 이분들은 공산당 정부의 눈치를 봐 가며 틈틈이 교우들을 돌보는 사목 활동을 하였는데, 이때 역시 인간의 생존에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의식주 중 어느 것 하나도 갖출 수 없었다. 머물 곳도, 적절한 옷가지도 없이 날마다 굶주린 삶이었다. 사람들이 임 신부를 마구 때리고, 고꾸라지면 다시 일으켜 세워 또 때리고 옷을 벗겨 혁대로 내리쳤지만, 임 신부는 마치 어린양처럼 묵묵히 맞기만 했다는 증언도 있다.
현대 선교사의 전형인 세 사제를 본받아
극심한 억압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온갖 고난을 겪으면서도 자신에게 맡겨진 양 떼를 버리고 떠날 수 없었다는 김선영 요셉?임복만 바오로?양세환 비오 신부! 증언자들은 세 사제에 대해 증언할 때마다 하나같이 모두 존경과 감사를 표하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들의 공통적인 증언은, 중국이 공산화된 이후 극도로 어려운 상황에서 세 한국 사제들이 양들을 버리지 않고 끝까지 돌보면서 참된 목자의 길을 굳건히 가셨다는 것이다. 이분들이 민족과 국가를 초월하여 실천한 그리스도적인 신앙과 사랑은 중국 내 지하교회와 지상교회, 중국 교회와 한국 교회, 중국민과 한국민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할 것이며, 아울러 중국 선교와 동양 평화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현대 선교사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세 사제의 삶을 통해, 우리는 스스로도 또 다른 신앙의 증인이 되는 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분들의 위대한 용기에 힘입어 오늘의 우리도 기쁘게 복음을 선포하며 ‘선교의 길’을 걸을 수 있을 것이다.
'님 찾아 구만 리'의 여정
저자는 10년간 열두 차례에 걸쳐 중국을 오가며 답사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았지만, 중국 당국이 세운 애국교회와 정통을 고수하고자 하는 지하교회의 갈등, 한족과 조선족의 환경 격차에 따른 이질감, 성직자와 수도자와 평신도 사이의 미묘한 벽도 하느님 앞에서 마침내 하나로 아우러지리라는 희망을 보았다고 전한다.
세 사제의 외로운 길에 함께 한 세 여인
세 사제의 외로운 길에는 늘 세 여인이 함께하였다. 바로 안노길 루치아, 고故 최경숙 모니카, 강순옥 데레사 수녀다. 이들은 세 사제를 보필하기 위해 독신으로 지내면서 자신의 일생을 봉헌하였다. 마치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길에 성모 마리아와 예루살렘 여인들이 함께하였듯이, 세 사제들의 외로운 고난의 길에 온 마음으로 함께하며 힘과 용기를 주었다.
안중근 의사의 5촌 조카며느리이자 김선영·임복만 신부님을 수발했던 안노길 루치아는 원래 성이 차씨지만, 안중근 의사를 따라 성까지 그리 바꿀 정도로 열혈 여성이다. 40년간의 옥고와 파란만장한 삶 속에서도 그가 지탱할 수 있었던 힘은 바로 신앙심과 애국심이었다.
수녀가 되고자 수녀원에 입회했으나, 공산당이 집권하면서 수녀원이 폐쇄되자 일생 독신으로 지냈던 고故 최경숙 모니카. 그는 임복만 신부님을 하얼빈으로 모셔와 정성껏 돕고, 하얼빈 지역의 신자들을 돌보았다. 평생 평복 수도자로 지내던 그는 사제 부족의 공백을 메우면서 공동체의 기둥 역할을 하였다.
강순옥 데레사 수녀는 평생 세 사제를 돌보며 수녀의 꿈을 접지 않고 동정녀로 살다가 65세의 나이로 중국 지하교회 수녀회에 입회하여 현재 수도자로서 기쁘게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