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서와 구약성경, 그 연속성과 불연속성
그리스도인은 주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자 복음서를 읽는다. 복음서가 예수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에 깔고 있지만 그것이 무얼 뜻하는지, 그분이 누구신지 하는 해석이 근간을 이룬다.
해석의 근거는 대부분 구약성경이고, 해석의 기준은 예수 그리스도이다.
저명한 신약성서학자인 조엘 마커스 교수는 첫 복음서인 마르코 복음서에서 즈카 9-14장, 다니 7장, 고난받는 의인의 시편, 이사야서 등 구약성경 구절들이 얼마나 많이 쓰였으며 그리스도인의 시각에서 어떻게 해석되었는지, 같은 시대의 유다교 해석과 무엇이 같고 다른지 꼼꼼하고 날카롭게 분석한다.
특히 그는 마르코 공동체가 제1차 유다 항쟁의 끝머리에서 심한 고난을 겪었고, 그 고난 속에서 마르코는 구약성경의 옛이야기를 새로운 방식으로 읽어 예수를 메시아 왕권을 지닌 '하느님의 아들'로 드러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초대 그리스도인들이 구약성경을 이어받으면서도 새롭게 재해석하여 신약성경의 싹을 어떻게 틔웠는지 놀라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마르코 복음서의 속살을 새롭게 음미할 수 있는 기쁨은 덤이다.
차례
감사의 글
제1장 입문
1. 마르코의 구약성경 사용법 개관
2. 마르코의 구약성경 사용법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3. 마르코의 그리스도론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4. 이 책의 연구 방법론
제2장 마르 1,2-3 이사야서에 따른 복음
1. 구약성경 본문
2. "이사야 예언자의 글에 기록된 대로"
3. 복음과 제2이사야서
4. 이사 40,3을 해석하는 '전승의 흐름'
5. 이사 40장과 팔레스티나의 혁명적 소요
6. 마르코의 광야 모티프
7. 제2이사야서와 묵시문학적 종말론
8. 주님의 길 - '윤리적인'길?
9. 마르코의 주님의 길 - 하느님의 나라로 들어가기
10. 눈먼 이가 치유되다
11. 예루살렘으로 올라가는 길
12. 예수의 길과 주님의 길
13. 길을 준비하기
14. 결론: 마르 1,2-3과 마르코 공동체
제3장 마르 1,9-11 사랑하는, 마음에 드는 아들
1. 구약성경 본문
2. 마르 1,10: 묵시문학적 신현으로서 표현된 예수의 세례
3. 시편 2에 대한 해석의 궤도
4. 마르코가 귀속시킨 시편 해석
5. 시편 2,7과 마르 1,11에 나오는 "하느님의 아들"의 의미
6. "너는 내 마음에 드는 이다"
7. 결론: 마르 1,9-11과 마르코 공동체
덧붙임: 고대 유다이즘이 "하느님의 아들" 칭호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
제4장 마르 9,2-8 하느님 아들의 변모
1. 구약성경 본문과 그에 대한 암시
2. 왕위에 오른 모세
3. 죽음 이후 이루어진 모세의 승천
4. 모세의 신성화와 하느님의 아들 신분인 예수
5. 결론: 마르 9,2-8과 마르코 공동체
제5장 마르 9,11-13 고난 받는 사람의 아들과 그의 선구자
1. 구약성경 본문
2. 폭력을 당하는 엘리야의 운명과 성경의 모순점
3. 고대 유다이즘에 나타나는 성경의 모순점
4. 메킬타와마르 9,11-13에 나타나는 반박적 양식
5. 주석학적 조정자로 기능하는 마르 9,13
6. 결론: 마르 9,11-13과 마르코 공동체
덧붙임: "엘리야가 먼저 와야만 한다"
제6장 마르 12,10-11 버려졌다가 정당성이 입증된 돌
1. 구약성경 본문과 맥락
2. 시편 118의 종말론적 해석
3. 마르 12,9과 마르코 복음서의 삶의 자리
4. 성전 이미지
5. 집 짓는 이들과 집 짓는 이
6. 주님께서는 나를 위하시는 분, 사람이 나에게 무엇을 할 수 있으랴?
7. 결론: 마르 12,10-11과 마르코 공동체
덧붙임: 마르 12,9의 "너희"와 "다른 이들"
제7장 마르 12,35-37 다윗의 자손과 다윗의 주님
1. 구약성경 본문
2. 종말론적 예언인 시편 110
3. 다윗의 자손인 예수
4. "다윗의 자손" 칭호의 불충분함
5. 마르 12,28-37과 쉐마(Shema), 그리고 '천상의 두 세력'
6. 다윗 가문의 메시아와 마르코 복음서의 삶의 자리
7. 결론: 마르 12,35-37과 마르코 공동체
덧붙임: "다윗의 자손" 칭호에 관한 두 가지 견해
제8장 마르 13-16장 수난 이야기
1. 즈카 9-14장
1) 구약성경의 인용과 암시
2) 즈카 9-14장과 예수 수난의 종말론적 해석
3) 즈카 9-14장과 마르코 공동체의 삶의 자리
4) 즈카 9-14장과 마르코의 그리스도론
5) '목자'의 정체성에 담긴 집단적 차원
6) 결론
2. 다니 7장
1) 마르코가 사용한 다니 7,13
2) 다니 7장의 넓은 문맥과 마르코 복음서의 재판 장면
3) 사람의 아들과 마르코 공동체
4) 결론
3. 고난받는 의인의 시편
1) 암시와 인용
2) 마르코 이전의 전승과 마르크의 편집
3) 고난받는 의인의 시편에 대한 종말론적 해석의 궤도
4) 시편 22과 마르 15장의 더 넓은 문맥
5) 고난받는 의인의 시편을 인용한 또 다른 마르코 대목의 문맥 살펴보기?
6) 고난받는 의인인 예수와 마르코 공동체
7) 결론
4. 제2이사야서의 종의 노래
1) 종의 노래를 암시하는 대목
2) 구약성경과 구약성경 이후의 유다이즘에 나타난 종의 노래
3) 마르코가 고난받는 종의 모티브를 사용한 방법
4) 예수의 죽음이 지닌 구원의 의미
5) 결론
5. 요약: 수난 이야기에 담긴 구약성경과 마르코 공동체
제9장 결론
1. 유다교 주석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2. 신약성경 신학의 하부 구조?
약어표
참고 문헌
성경 및 관련 문헌 찾아보기
저자 찾아보기
주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