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목적은, 이 새 시대에 있어서 인간 세계가 지닌 의미를 천착해 온 작금의 연구에 바탕에서 전개하는 창조자- 창조에 관한 성찰이 과연 어떤 결실을 거둘 것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촉진하는 데 있다. -<머리말>에서

가. 시원 사건으로서의 창조
기원들에 관한 이야기의 맥락
나. 세계 창조와 인간 창조: 창세기 1,1-2,4a
1. 창세기 1,1-2,4a의 구조와 특성
2. 창세기 1장에 나타난 인간 창조
3. 하느님의 모습, 하느님의 닮은꼴
4. "보시니 매우 좋았다"
5. 하느님의 휴식
다. 창세기 2-3장의 인간 창조와 인간의 한계
1.세계 창조와 인간 창조/ 2.설화/ 3.흙을 소재로 한 인간
창조/ 4.한 총체적 존재로서의 인간/ 5.낙원과 일을 하도록
부과된 사명/ 6.동물들/ 7.남자와 여자의 공동체
라. 범죄
1.명령/ 2.유혹, 악의 기원/ 3.부끄러움/ 4."아담아, 너 어디
있느냐?"/ 5.인간과 인간의 한계들/ 6.동산으로부터의 추방/
7.생명의 나무와 죽음/ 8.타락?/ 9.인간 창조와 인간학/ 10.
아담과 그리스도
클라우스 베스터만 : 글쓴이황종렬 : 옮긴이1957년 1월 - 서울 출생 1980년 2월 - 한국 방송통신 대학(행정학) 1980년 3월 - 서
울 가톨릭 대학 신학부 편입 1983년 2월 - 서울 가톨릭 대학 졸업 1987년 3월 - 가톨
릭 출판사 편집부 근무 1986년 6월 - 김상분과 결혼, 현재 두아들이 있음 1993
지금은 미국 피츠버그의 Duquesne University 신학부에 재학중이며 박사학위 논문으
로 [한국 신학의 방법론과 모델] 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 토착 신학의 구조] 와 [웅녀와 단군의 성서 읽기] 가 있고 [가시
겨울나기] 라는 시집을 내기도 했다.
옮긴 책으로는 분도 출판사에서 나온 [영성과 정의] [창조] [비유의 재발견] [땅의 신
학] [해방자 예수 그리스도] [생명이신 하느님] [동등자 사제직] [원복]...등이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