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는 하느님과의 끊임없는 인격적 만남과 대화 안에서 자신의 깊은 내면을 인식하고, 복음을 따르며 교회의 사명을 수행하고 새로운 인격으로 성장하고 성숙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본서는 이 성소의 성숙과 발달과정, 식별과 양성에 대한 비전을 말하고 있으며, 이 책의 ‘서문’에서 설명하였듯이, 1장부터 4장까지는 성소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와 신학적 성찰을 통해 성소의 진정한 의미와 차원을 개괄하고, 이어서 성소의 동기와 특징, 발달 과정을 정신분석, 자아실현, 자기초월 이론을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다.
5장에서 9장까지는 성소의 의식, 무의식적 동기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다루고 다양한 성소의 반대표지를 살펴봄으로써 성소 식별의 방법과 실천, 성소의 발달과 성숙을 향한 교육학적 토대를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10장에서 14장까지는 축성생활로서의 독신, 성소 지도자의 양성, 성소의 위기를 병리학적·교육심리학적·영성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사제·수도 성소의 영성-심리학적 연구의 활용이 성직자·수도자를 지망하는 피양성자들과 그들을 동반하고 지도하는 양성자들의 신앙과 인격 성숙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앞으로 양성자, 피양성자가 모두 함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서언
들어가기에 앞서
예비 조항들(제204~207조)
제1장 모든 그리스도교 신자의 의무와 권리(제208~223조)
제2장 평신도의 의무와 권리(제224~231조)
제3장 거룩한 교역자(봉사자) 혹은 성직자(제232~293조)
제4장 성직 자치단(제294~297조)
제5장 신자들의 단체(제298~329조)
결론
부록
부록1 - 교회 평의회에서 평신도: 사목 평의회의 경우
부록2 - 단체에 대한 교회 기준
부록3 - 코리엔텐시스 결의안: 단체(협회)에 관한 공의회 이전 대헌장
참고 문헌
옮기고 나서
글쓴이 : 루이지 사바레세
교황청립 우르바노 대학교 교회법대학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잡지 Ius Missionale의 설립자 및 편집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이: 김현조 신부
한국순교복자 성직수도회 사제로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 현재 가톨릭대학교 교회법대학원 교수이자 천주교 의정부교구법원 성사보호관으로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