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서: Anti-intellectualism in American Life
정치의 타락은 지성이 타락한 결과다!
미국의 지적 전통이란 무엇인가?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지식인은 민주주의의 실현에 힘이 되는가? 『미국의 반지성주의』는 저명한 역사가가 미국의 역사를 ‘반지성주의’라는 개념으로 분석한 현대 지성사의 고전이다. 미국의 건국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종교, 경제, 교육, 문학 등을 소재로 삼는다. 이 책의 목표는 미국인의 삶에서 지성에 쏟아지는 멸시를 묘사하는 것뿐만 아니라 민주주의 사회에서 하나의 세력인 지성이란 과연 무엇이며 무엇일 수 있는가에 관해 발언하는 것이다.
저자는 매카시즘과 1952년 대통령 선거의 밑바탕에 흐르는 대중의 정서를 무엇보다도 반지성주의라는 개념으로 포착했다. 반공산주의를 표방한 매카시즘은 사실 반지성주의에 가까운 운동이었다. 대공황 이후 1930년대에 진행된 뉴딜은 전문가로서의 지식인이 권력의 중추에 포진하는 계기였다. 한편 2차대전 이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전문가로서의 지식인과 대조되는 이데올로그로서의 지식인은 체제, 아니 사회 자체를 전복하려는 위협 세력으로 느껴졌다. 호프스태터가 보기에, 매카시즘은 이 두 부류의 지식인에 대한 원한과 분노가 폭발한 운동이었던 것이다.
☞ 수상내역
- 1964년 퓰리처상 넌픽션 부문 수상작
목차
추천사
서문을 대신하여
1부: 서론
1장 우리 시대의 반지성주의/ 2장 호평 받지 못하는 지성
2부: 마음의 종교
3장 복음주의의 정신/ 4장 복음주의와 부흥운동가/ 5장 근대성에 맞선 반란
3부: 민주주의 정치
6장 젠틀맨의 쇠퇴/ 7장 개혁가의 운명/ 8장 전문가의 부상
4부: 실용적인 문화
9장 기업과 지성/ 10장 자조와 영적 기술/ 11장 주제의 변주
5부: 민주주의 사회의 교육
12장 학교와 교사/ 13장 생활 적응의 길/ 14장 어린이와 세계
6부: 결론
15장 지식인: 소외와 체제순응
감사의 말/ 주/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