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도시, 서울을 산책하다
문인들의 뜨거운 삶의 공간이자
문학적 상상력의 공간인 서울을 거닐다
불멸의 문인들이 사랑한 도시, 서울
2022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를 집필한
서울대학교 방민호 교수와 함께 다시 호흡하는
이상, 박태원, 윤동주, 김수영, 현진건, 박완서……
‘서울’은 우리나라의 문화가 가장 찬연하게 빛나는 도시다. 이 상징적 공간을 흔들리지 않는 중심축으로 설정하고, 문학적 시선을 통해 이곳에 쌓인 삶의 시간을 들여다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삶의 독법을 보여 주었던 『서울 문학 기행』의 개정증보판이 종합 출판 브랜드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서울 문학 기행』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명작 단편의 작가이자 중고등학교 국어, 문학 교과서에 필수적으로 소개되는 현진건과 나도향의 작품 이야기를 추가했다. ‘서울’을 삶의 배경이자 문학의 상징적 공간으로 의미화한 열두 작가의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확장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 실린 이상, 윤동주, 현진건, 박태원, 박인환, 김수영, 이광수, 나도향, 임화, 손창섭, 이호철, 박완서가 남긴 작품들은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캄캄한 밤하늘에 하얗게 빛나는 별처럼” “우리의 삶이 무엇인지 글로써 애틋하게 밝혀”(「책을 시작하며」에서) 주고 있다. 열두 명의 불멸의 문인은 한국 근현대 문학을 연구하며 서울이라는 공간과 작가 및 작품의 관계에 깊은 관심을 두고 탐구해 온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방민호 교수의 여정을 통해 되살아나, 우리 가까이에서 다시 호흡하고 있다.
목차
책을 시작하며 |우리 문학의 사연 깃든 서울을 찾아
1장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극단의 시대를 통찰하다 ― 이상, 날개
2장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순수를 향한 처절한 고투 속으로 ― 윤동주, 서시
3장 인력거꾼 김첨지의 낙원의 꿈은 어디로
어둠의 시대에 지조를 잃지 않은 작가 ― 현진건, 운수 좋은 날
4장 한 개의 기쁨을 찾아 걷다
서울의 호흡과 감정 ―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5장 세월은 가고 오는 것
삶의 허무를 깊이 호흡하다 ― 박인환, 목마와 숙녀
6장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참여의 시가 아닌 존재의 시 ― 김수영, 풀
7장 이것이 선이오? 악이오?
욕망과 죄의식의 이중국적자 ― 이광수, 유정
8장 가슴속에 응결된 뜨거운 정념
하층민의 인간적 감정과 의식의 회복 ― 나도향, 벙어리 삼룡이
9장 근로하는 모든 여자의 연인
서울의 심장 ‘종로’에서 부르는 노래 ― 임화, 네거리의 순이
10장 의리나 양심을 팔아먹고 사는 것들
‘외부자’의 시선으로 건너다본 서울 ― 손창섭, 인간교실
11장 나도 이게 어엿한 직업이여
잉여를 배제한 도시 ― 이호철, 서울은 만원이다
12장 살고 싶다 죽고 싶다
전쟁 폐허에서 발견하는 생의 의미 ― 박완서, 나목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