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문학의 도시, 서울을 산책하다


문인들의 뜨거운 삶의 공간이자

문학적 상상력의 공간인 서울을 거닐다


불멸의 문인들이 사랑한 도시, 서울


2022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를 집필한

서울대학교 방민호 교수와 함께 다시 호흡하는

이상, 박태원, 윤동주, 김수영, 현진건, 박완서……


‘서울’은 우리나라의 문화가 가장 찬연하게 빛나는 도시다. 이 상징적 공간을 흔들리지 않는 중심축으로 설정하고, 문학적 시선을 통해 이곳에 쌓인 삶의 시간을 들여다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새로운 삶의 독법을 보여 주었던 『서울 문학 기행』의 개정증보판이 종합 출판 브랜드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서울 문학 기행』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명작 단편의 작가이자 중고등학교 국어, 문학 교과서에 필수적으로 소개되는 현진건과 나도향의 작품 이야기를 추가했다. ‘서울’을 삶의 배경이자 문학의 상징적 공간으로 의미화한 열두 작가의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확장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 실린 이상, 윤동주, 현진건, 박태원, 박인환, 김수영, 이광수, 나도향, 임화, 손창섭, 이호철, 박완서가 남긴 작품들은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캄캄한 밤하늘에 하얗게 빛나는 별처럼” “우리의 삶이 무엇인지 글로써 애틋하게 밝혀”(「책을 시작하며」에서) 주고 있다. 열두 명의 불멸의 문인은 한국 근현대 문학을 연구하며 서울이라는 공간과 작가 및 작품의 관계에 깊은 관심을 두고 탐구해 온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방민호 교수의 여정을 통해 되살아나, 우리 가까이에서 다시 호흡하고 있다.


목차


책을 시작하며 |우리 문학의 사연 깃든 서울을 찾아


1장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극단의 시대를 통찰하다 ― 이상, 날개


2장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순수를 향한 처절한 고투 속으로 ― 윤동주, 서시


3장 인력거꾼 김첨지의 낙원의 꿈은 어디로

어둠의 시대에 지조를 잃지 않은 작가 ― 현진건, 운수 좋은 날


4장 한 개의 기쁨을 찾아 걷다

서울의 호흡과 감정 ―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5장 세월은 가고 오는 것

삶의 허무를 깊이 호흡하다 ― 박인환, 목마와 숙녀


6장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참여의 시가 아닌 존재의 시 ― 김수영, 풀


7장 이것이 선이오? 악이오?

욕망과 죄의식의 이중국적자 ― 이광수, 유정


8장 가슴속에 응결된 뜨거운 정념

하층민의 인간적 감정과 의식의 회복 ― 나도향, 벙어리 삼룡이


9장 근로하는 모든 여자의 연인

서울의 심장 ‘종로’에서 부르는 노래 ― 임화, 네거리의 순이


10장 의리나 양심을 팔아먹고 사는 것들

‘외부자’의 시선으로 건너다본 서울 ― 손창섭, 인간교실


11장 나도 이게 어엿한 직업이여

잉여를 배제한 도시 ― 이호철, 서울은 만원이다


12장 살고 싶다 죽고 싶다

전쟁 폐허에서 발견하는 생의 의미 ― 박완서, 나목


참고 자료

글쓴이  :  방민호
1965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공주를 거쳐 대전에서 성장했다. 대학 입학과 함께 서울로 올라와 수학하며 한국 현대 문학을 전공했고, 서울이라는 공간과 작가·작품의 관계 양상에 관심을 갖고 탐구해 왔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4년 《창작과비평》 제1회 신인평론상을 수상하며 비평 활동을 시작했고, 문학평론집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납함 아래의 침묵』, 『행인의 독법』,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 『한국비평에 다시 묻는다』가 있다. 연구서로는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이상 문학의 방법론적 독해』,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가 있으며, 함께 펴낸 저서로는 『최인훈, 오디세우스의 항해』, 『탈북문학의 도전과 실험』 등이 있다.
2001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 『내 고통은 바닷속 한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 『숨은 벽』을 출간했다. 또한 2012년 《문학의오늘》에 단편소설 「짜장면이 맞다」를 발표하며 소설 창작을 시작하여 소설집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답함』, 장편소설 『연인 심청』, 『대전 스토리, 겨울』을 집필했다. 그 외에도 산문집 『명주』, 『통증의 언어』, 『경원선 따라 산문 여행』 등이 있다. 현재 이효석문학재단 이사장과 계간 《맥》의 편집주간을 맡고 있다.